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 흔히 사용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10가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dianhac.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dianhac.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심리툰 Psych2Go Korea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8,175회 및 좋아요 62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 부정(Denial): 불안감을 줄이고자 명백한 사실을 외면하는 전술로, 가장 원초적인 방어기제. …
- 투사(Projection): 받아들일 수 없거나 충격적이고 당황스러운 생각, 기분, 충동을 불안감을 덜기 위해서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리는 것.
Table of Contents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흔히 사용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10가지 –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방어기제는 불쾌한 생각이나 감정을 인식함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심리적 작용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억압, 부정, 합리화와 같은 특정한 방어기제를 사용하기도 하죠. 본 영상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10가지의 방어기제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재밌게 보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
Credits
스크립터: Geneva Fluet
스크립트 에디터: 심리툰 Psych2Go Korea
번역/더빙: 심리툰 Psych2Go Korea
애니메이터: Lesly Ramirez
Psych2Go 매니져: Wendy Hu
한국에디터: 심리툰 Psych2Go Korea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방어기제 종류 알아보고 나의 방어기제 탐색해보기
예) 교통사고를 겪은 사람이 그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며느리가 자신을 괴롭히는 시어머니에 대한 분노를 느끼지 못하는 …
Source: streamingdream.tistory.com
Date Published: 8/12/2022
View: 325
방어기제의 종류와 개념
억압을 통해 자아는 고통스럽거나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환상, 기억 등을 무의식 속으로 추방시켜 의식화되는 것을 막아준다. 사례). ① 아침에 …
Source: nanumfare.tistory.com
Date Published: 3/25/2022
View: 3790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의 종류와 설명
반동 형성(Reaction formation) 금지된 충동을 억제하기 위해 반대되는 사고와 행동을 강조하는 것. 억압과 반대표현으로 나타난다. 예) 화가 나는데 웃고 …
Source: taeen.tistory.com
Date Published: 7/9/2021
View: 6189
방어기제의 종류 – Emmanuel University
스트레스와 불안을 일으키는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를 타인에게 있는 것처럼 전가시킴으로써 자신을 방어하는 방법. 투사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람의 무의식에 지나치게 …
Source: emmanueluniversity.org
Date Published: 11/19/2022
View: 6424
방어기제 – 나무위키:대문
하지만 방어기제가 초자아의 이상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아가 초자아와 원초아의 요구를 타협시키는 것이 방어기제이다.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4/22/2021
View: 7392
[건강정보] 방어기제의 종류와 예 – LeeJI
[건강정보] 방어기제의 종류와 예 · 동쪽에서 뺨 맞고 서쩍에서 화풀이하기를 예로 들 수 있다. · 자위행위에 대한 죄책감이 손을 자주 씻는 행동으로 옮아 …Source: jeongil13579.com
Date Published: 5/12/2021
View: 108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흔히 사용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10가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 Author: 심리툰 Psych2Go Korea
- Views: 조회수 18,175회
- Likes: 좋아요 621개
- Date Published: 2022. 3. 2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NrtZ5Z318TU
방어기제 종류 알아보고 나의 방어기제 탐색해보기
사람은 자신의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우리는 사실 스트레스 받는 상황, 위협, 불안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방어기제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나는 직면했을 때 무의식적으로 스스로 방어하기 위해 나오는 방어기제 중에 나는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프로이트의 논문에서 방어기제는 처음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방어기제는 자아와 외부조건 사이에서 겪게 되는 갈등에 적응하도록 하여 인간의 심리발달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면에서 효과적이지만, 오히려 사회생활을 못 하게 하는 부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1. 방어기제란?
프로이트는 인간은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가 있다고 합니다. 자아인 ego는 원초아와 초자아 욕구 사이를 조정하는 현실적인 역할을 하며, 원초아의 욕구가 강해지면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방어기제라고 합니다.
방어기제는 모든 사람들이 일상에서 아용하지만, 지나치게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경우 정신 병리와 연관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할까요?
2. 방어기제의 종류
◇ 참조 및 출처 : 「한번 읽으면 절대로 잊지 않는 심리학 공부(강현식 지음/메이트북스) 中 139p~141p, 191p~197p」
방어기제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합리화, 억압, 투사, 승화 등이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합리화 : 상황을 그럴듯하게 꾸미고 사실과 다르게 인식하여 자아가 상처 받지 않도록 정당화 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간절히 바라는 것을 이루기 어려울 때 그것의 가치를 낮추는 것과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을 인정해야만 할 때 그것의 가치를 높이는 두 가지 경향으로 나타납니다.
예) 여우와 신포도의 이솝우화 이야기를 생각하면 됩니다.
* 억압 : 감당할 수 없는 생각과 감정을 무의식으로 보내기, 대표적인 방어기제입니다. 억압을 사용하면 충동, 욕구, 좋지 않은 기억이 의식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무의식에 머무릅니다. 억압의 결과 우리는 의식하지 못하더라도 꿈이나 말 실수 등으로 표출된다고 합니다.
예) 교통사고를 겪은 사람이 그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며느리가 자신을 괴롭히는 시어머니에 대한 분노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나 초등학생 시절에 당했던 성폭행을 기억못하는 것, 심인성 기억상실증도 일종의 억압입니다.
* 투사 : 자신의 감정이나 동기를 다른 사람에게 돌려서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입니다.
예) 어떤 사람을 미워하여 해치고 싶은 충동이 있을 때 자신의 증오심을 상대에게 떠넘겨서 그 상대가 자신을 미워해서 해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주변탓을 하여 진실을 감추고 현실을 왜곡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어기제입니다.
* 부정 혹은 부인 : 특정한 일이나 생각, 느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고통스럽기 때문에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입니다. 위협적인 외적 현실, 견딜 수 없는 생각, 욕구나 충동 등을 외면하거나 인정하지 않기로 무의식적으로 부정합니다. 현실의 불쾌한 상황을 직면하지 않기 위해 현실을 외면해버립니다. 억압이 무의식 수준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면 부인은 의식이나 전의식 수준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 불치병 진단을 받은 환자가 자기는 그런 병에 걸렸을 리 없다고 부인함.
예) 사랑하는 사람을 먼저 떠나보낸 이들이 망자에게 문자 메시지나 메일을 보내거나 블로그의 방명록에 글을 남기는 행동, 가족들은 망자의 방이나 물건을 일정기간 치우지 않고 청소를 하며 그가 살아있는 것처럼 행동함.
* 전치 혹은 치환 : 문제의 초점을 바꾸거나 대상을 바꾸는 것입니다.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하나의 생각을 수용하기 쉬운 생각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예) 마음에 들지 않는 부하직원이 작성한 기안문서에서 오탈자를 집중적으로 찾거나 넥타이를 비롯한 옷매무새를 지적함.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라는 속담이 자주 인용됩니다.
* 동일시 :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한 인물을 닮는 것으로 다른 사람을 닮아가는 방어기제입니다.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자신과 동일화, 즉 닮아 가게 하여 두려움을 극복하는 방어기제입니다. 동일시의 유형은 따를 수 없는 욕망을 억제하고 외부의 요구를 내면화 하여 자아를 변형시키는 방어적인 동일시 / 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자아를 바꿔 나가 자율성을 획득해가는 발달적인 동일시로 구분
예) 무서운 아버지 밑에서 양육된 아들이 아버지와 닮아 가는 것.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동성 부모를 대상으로 일어납니다. 동성 부모와의 동일시를 통해 아이는 구조모형(무의식) 중 하나인 초자아를 형성합니다. 실제로 아이들은 부모의 규범을 내재화하며, 부모의 평소 지시와 규칙에 따라 양심을 형성하고, 더 나아가 동성 부모를 통해 자신의 미래상을 확립합니다.
실제로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포로 수용소에 있던 일부 유대인들은 자신들을 감시하고 억압하는 나치 친위대 소속 병사들과 동일시 했다고 합니다. 생명이 위협받는 불안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명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과 자신을 동일시하며 자신도 그러한 권한을 가진 것처럼 느끼려는 무의식적 소망때문이라고 합니다.
* 퇴행 : 미성숙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으로 스스로 자신이 없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행동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어린시절로 되돌아가 불안감을 감소하는 것입니다. 주 갈등 원인은 내적 정신 체계들의 충돌보다 외부에 위협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예) 동생이 태어날 때 보이는 첫째 아이의 모습이 가장 대표적임. 동생이 태어난 직후 침대에 오줌을 싸는 등 퇴행하는 모습, 젖을 뗀 아이들이 젖을 먹으려고 하거나 응석을 부리기.
예) 성인인 경우 교묘하게 나타납니다. 마음이 힘들 때마다 몸져 눕는 사람이 있다면 주변 사람들로부터 아기 같은 대우, 세밀한 보살핌과 관심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반동형성 : 금지된 충동을 억제하기 위해 반대되는 사고와 행동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불편한 감정과 생각을 정반대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미운 자식 떡 하나 더 준다.”는 속담처럼 불편한 감정이 있는 대상에게 지나치게 친절을 베풉니다.
예) 반감을 가지고 있는 직장상사에게 반감을 표출할 수 없어 반대로 공손한 태도를 지나치게 보임. 동성애 성향을 무의식적으로 감추고 있는 사람이 겉으로는 동성애에 대한 강한 혐오를 드러내며 동성애자를 공격함.
* 전위 : 내적인 충동이나 욕망을 관련된 대상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분출하는 것입니다. 관련 대상이 자신에게 위협적인 대상이기 때문에 덜 위협적인 대상에게로 충동을 옮깁니다. 우리 속담 중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가 전위를 잘 설명한다고 합니다.
예) 회사에서 직장 상사에게 호되게 지적당한 후에 애인에게 화풀이 하는 행동임.
* 신체화 : 심리적인 갈등이 신체를 통해 병이나 증상 등의 형태로 전환하여 나타나는 것입니다. 동정 등을 얻고자 과장된 행동을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 스트레스 받았을 때 극심한 두통에 시달림.
3. 방어기제 유형과 정신건강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사람 중 편집증 성향이 높은 사람은 투사를 과도하게 쓰는 경향이 있고, 공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전위, 신체화, 반동형성 등을 남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면서 각각의 정신병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DSM-Ⅳ에 분류되어 있는 방어수준 및 방어기제(APA, 1994)로 총 7개의 방어수준을 나누어 설명한다고 합니다.
방어 수준 방어 기제 높은 적응 수준 예견, 친화, 이타성, 유머, 자기 주장, 자기 관찰, 승화, 억제 정신 억제 수준 전위, 해리, 주지화, 감정 격리, 반동 형성, 억압, 취소 가벼운 이미지 왜곡 수준 평가 절하, 이상화, 전지전능감 부정적 수준 부정, 투사, 합리화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 자폐성 공상, 투사적 동일시, 자신과 타인 이미지 분리 행동 수준 행동화, 무감동적 철퇴, 도움-거절 불평, 수동-공격성 방어적 와해 수준 망상적 투사, 정신병적 부정, 정신병적 왜곡
우리나라에서는 이화 방어 기제 검사(김재은 등, 1991)로 방어기제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습니다.
유형 방어 기제 불안정한 예민화 방식 행동화, 전치, 신체화, 해리, 투사, 수동-공격 자아 확대적 방식 통제, 왜곡, 이타주의, 유머, 승화 자아 부정적 방식 반동 형성, 허세, 동일시, 퇴행 행동 억제적 방식 부정, 합리화, 억제, 예견, 회피
★ 건강한 방어기제
* 억제 : 감당할 수 없는 생각과 감정을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것, 억압이 무의식이라면 억제는 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예) 자신을 괴롭히는 시어머니에 대한 분노를 명확히 지각하는 며느리는 그 감정을 통제하면서 시어머니를 대합니다. 억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아가 어느정도 힘이 있어야 합니다. (억압은 화병으로 발전할 수 있으나 억제는 그렇지 않음)
* 이타주의 : 자신의 욕구를 자제하고 타인의 욕구에 관심을 가짐.
예) 불편하고 힘든 감정이나 생각이 자신을 장악하려고 할 때마다 봉사활동을 함. 타인을 도우며 자아불안을 연소시키는 방법임.
* 승화 : 반사회적 충동을 사회가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욕구나 추동을 표현합니다.
예) 성적 충동을 누드화를 그리거나, 관능적인 춤을 추는 것으로 승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격성 충동은 권투, 야구, 축구와 같은 공격적인 스포츠를 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 흠씬 패주고 싶은 욕구를 승화시켜 격투기 선수가 되는 것, 사람을 칼로 찌르고 싶은 욕구를 승화시켜 외과 의사나 주방장, 정육점 주인이 되는 것, 사람을 향해 총쏘고 싶은 욕구를 승화시켜 군인이 되는 것이 예입니다.
* 유머 : 난처하고 불편한 상황을 웃음으로 넘기기, 유머는 농담과 다릅니다. 단순한 재미와 즐거움이 목적인 농담은 그 대상이 주로 타인이지만, 유머는 자신의 불편한 감정과 상황을 이겨내기 위한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2차 세계대전의 홀로코스트를 경험하면서도 유머를 즐겼는데, 프랭클(Victor Frankl)은 자신의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통해 죽음을 앞둔 유대인들을 붙잡아주었던 것은 유머라고 했다고 합니다.
우리에게는 감정과 불편한 상황을 대처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강하지 못한 방어기제보다 건강한 방어기제를 사용해보도록 노력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 무엇보다 자아의 힘을 키워서 현실과 자신의 감정을 직면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스트레스나 불안의 위협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대처하는 방어기제, 나쁘다고만 볼 수는 없지만 살면서 건강하게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을 찾아보고 방어기제도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며 사용하도록 해보아요.
(◎ 출처 : 한번 읽으면 절대로 잊지 않는 심리학 공부_강현식 지음(메이트북스) / 네이버 지식백과)
반응형
방어기제의 종류와 개념
방어기제의 종류와 개념
1) 억압(repression)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무의식적 정신기제이다. 억압을 통해 자아는 고통스럽거나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환상, 기억 등을 무의식 속으로 추방시켜 의식화되는 것을 막아준다.
사례)
①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어하는 사람이 ‘자명종 소리를 못 들었다’고 함
② 하기 싫고 귀찮은 과제를 하지 않고 ‘깜박 잊었다’고 말함
2) 반동형성(reaction-formation)
용납할 수 없는 욕구나 충동, 감정을 그와는 정 반대의 강한 욕구나 감정으로 대체 시켜 표현하는 방어기제로서 무의식적 기제이다.
사례)
① ‘미운 놈에게 떡 하나 더 준다.’ 는 속담
② 자기를 학대하는 남편 앞에서 그를 매우 사랑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
3) 퇴행(regression)
실패가능성이 있거나 불안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초기의 발달단계나 행동양식으로 후퇴하는 것이다.
사례)
① 네 살 난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면 대소변을 못 가리고 다시 젖먹이고 돌아가는 행동
② 중병에 걸려 입원한 환자가 간호사에게 아이같이 졸라대는 모습
4) 동일시(identification) – 다른 사람의 성격이나 역할을 따라서 자기의 일부로 삼는 과정이다.
사례)
① 아버지를 무서워하는 아들이 그 아버지를 닮는다.
② 강한 성적 욕망이 있는 여자가 화려한 여배우와 동일시하는 것
5) 보상(compensation)
신체적 구조, 성격적 특성, 지적 성취 등에 대한 실제적 또는 상징적 결함을 그와 다른 측면을 잘 해냄으로서 그 결함을 극복하려는 심리기제이다.
사례)
① 자신의 친부모에게 효도를 못한 사람이 이웃의 노인을 극진히 부양하는 경우
② ‘작은 고추가 맵다’라는 것
6) 합리화(rationalization)
아주 빈번히 사용되는 방어기제로서 의식하지 못한 동기의 결과로 어떤 행동을 하고 나서 이치에 닿는 이유를 대는 심리기제이다.
종류 및 사례)
① 신포도형(sour grapes)
어떤 목표를 달성하려 했으나 실패한 사람이 자신은 처음부터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변명함
② 달콤한 레몬형(sweet lemon)
자기가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이 남들이 볼 때는 별 볼일 없는 것이지만 본인은 바로 그가 원하던 것이라고 스스로 믿는 것
③ 투사형(projection)
자신의 결함이나 실수를 자기 이외의 다른 대상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는 것
④ 망상형(delusion)
원하는 일이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 자신의 능력에 대해 허구적 신념을 가짐으로써 실패의 원인을 합리화시킴
7) 대치(substitution)
정서적으로 아주 귀중한 대상이지만 받아들일 수 없는 대상을 심리적으로 용납되는 비슷한 다른 대상으로 무의식적으로 대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례)
① 꿩 대신 닭
② 오빠에게 매력을 느끼는 동생이 그와 비슷한 용모를 가진 사람을 사귄다.
8) 전치(displacement)
실제로 있는 어떤 대상에 향했던 감정 그대로를 다른 대상에 표현하는 것으로 전치와 대치는 유사한 개념이지만 대치는 대체물이 되는 대상 자체를 강조하며, 전치는 대상에 대한 감정에 강조점을 두는 차이가 있다.
사례)
자신의 부도덕에 대한 죄책감으로 하루에도 몇 번씩 손을 씻는다.
9) 투사(projection)
자신의 바람직하지 못하고 용납될 수 없는 생각이나 충동을 다른 사람 때문이라고 남에게 책임을 전가시킴으로서 자신의 열등감에서 탈피하려는 기제이다.
사례)
① 자신이 누구를 미워할 때, 그가 자신을 몹시 미워하기 때문에 자신도 그를 미워한다고 말함
② 누구를 싫어할 때, 그가 미운 짓을 하기 때문이라고 말함
10) 상징화(symbolization)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부착된 감정적 가치를 어떤 상징적 표현으로 전치시키는 과정이다.
사례)
꿈, 공상, 신화 등이 여기에 속한다.
11) 분리(isolation)
고통스러운 생각이나 기억을 그에 수반된 감정 상태와 분리시키는 것으로 고통스러웠던 사실은 기억하지만 감정, 정서는 억압함으로써 지각하지 못하게 된다.
사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말할 때는 슬픈 감정을 느끼지 못했던 청년이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영화를 보면서 비통하게 우는 경우
12) 부정(denial)
의식적으로 참을 수 없는 생각이나 욕구를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현실적인 사실을 없는 것처럼 생각하거나 자기가 바라는 대로 공상해 버리는 것이다.
사례)
① 어머니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며칠 여행을 떠나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경우
② 암환자가 자기의 병을 부정하는 것
13) 승화(sublimation)
원초적이고 용납되지 않는 욕구(id)를 적절히 억압할 수 없을 때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윤리적이고 보다 보람 있는 행동 형식으로 전환하여 표출하거나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기제이다.
사례)
성적 충동이나 폭력에 대한 충동이 각종 예술, 종교, 문화, 과학 등을 통하여 나타난다.
14) 해리(dissociation)
마음을 편치 않게 하는 근원적인 성격의 일부가 그 사람의 의식적 지배를 벗어나 마치 하나의 다른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를 말한다.
사례)
① 지킬박사와 하이드
② 이중인격자, 몽유병, 건망증 등
15) 저항(resistance)
무의식의 내용을 의식화 할 때 심층에서 이 의식을 방해하는 기제로서 억압된 감정이 의식화되면 너무 고통스럽기 때문에 대개가 기억이 없다고 답변을 하는 경우가 많다.
사례)
정신분석 도중 환자가 침묵, 꿈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 의자가 불편하다고 트집 잡는 것 등
16) 내면화(introjection)
외부의 대상을 자기 내면의 자아체계로 받아들이는 기제이다.
사례)
어머니를 미워하는 감정을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을 미워하는 것으로 대치
17) 원상복귀(undoing)
무의식에서 어떤 대상을 향해 품고 있는 자기의 성적인 또는 적대적인 욕구로 인해 상대방이 당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피해를 원래 상태로 되돌려 놓은 것을 의미한다.
사례)
여비서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것을 느낀 남자가 부인에게 줄 비싼 선물을 사는 행위
18) 전환(conversion)
심리적 갈등이 신체증상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사례)
① 글을 쓰는 데 갈등을 느끼는 소설가가 원고를 쓰는 오른 팔에 마비를 가져오는 것
② 군에 입대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입영영장을 받아보고 시각 장애를 가져오는 경우
19) 신체화(somatization)
심리적 갈등이 감각기관, 수의근계를 제외한 기타 신체부위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를 말한다.
사례)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거나 오래 동안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앵~앵’ 119 자동차 소리에 심장이 뛴다.
20) 역전(reversion)
감정, 태도, 관계를 반대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역전은 반동형성과 구별되는데 엄밀한 의미로 말하면 반동형성은 감정의 역전에 해당되는 개념이다.
사례)
극도로 수동적이며 무기력한 어머니에게 무의식적으로 반항하면서 유능한 여성으로 성장한 사람이 자신의 성공에 대해 죄책감과 불안을 경험하는 경우
21) 지성화(intellectualization)
고통스러운 감정과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들을 직접 경험하는 대신 그것들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말한다.
사례)
어떤 청소년이 이성친구와의 소개팅에서 바람을 맞아서 친구들과 이야기 하는데 상당히 그 이야기가 나올까봐 불안해하고 있으며 그래서 이 친구가 연애철학에 대해서 어떤 이성 간에 친구들 간에 연애철학에 대해서 친구들과 계속 이야기 하는 경우
[사회복지사1급 온라인 강의+수험서 최저가 패키지]* 특징 : 사회복지1급 No.1 김형준 교수 단독 저자 직강
* 구성 : 이론동영상100강 + MP3 + 수험서 + 학습점검 문제풀이
* 교육비 : 18만원
——————————————————————
[사회복지사1급 최신 이론서]– 사회복지사1급 시험 합격을 위한 맞춤형 핵심 이론서
– 각 영역별 사회복지 전문 교수진 집필
– 시험에 꼭 필요하고 자주 출제되는 이론을 중점으로 완벽 해설
– 시험 교시별로 분권하여 출간
* 저자 : 나눔복지교육원 수험연구회
* 페이지수 : 3권 통합, 총 1,316페이지
* 교육비 : 45,000원(나눔복지교육원 공동구매가격 4만원)
신청 및 기타 상세 문의는 나눔복지교육원 다음카페를 참조하거나
아래 연락처로 연락 바랍니다.
http://cafe.daum.net/socw97, 02-2263-9001 (평일 오전 10시-오후6시)
[건강정보] 방어기제의 종류와 예
방어기제란 이드의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욕구, 충동과 이에 대한 초자아의 압력 때문에 발생하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무의식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전으로, 어려운 문제에 부딪혀 현실을 왜곡하기도 하고 거부, 위조하기도 하나 자신은 인식하지 못한다.
1. 억압(repression) : 용납될 수 없는 생각이나 욕구 등을 무의식의 영역에 묻어버리는 방어기전으로 가장 보편적이고 1차적인 기전이다.
죄의식을 일으키는 기억을 의식에서서 제거하는 무의식적 기전입니다.
가슴 아픈 일이나, 귀찮은 일들을 듣지 못했다고 하거나 잊어버리는 일을 예로 들 수 있다.
2. 억제(suppression) :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이나 충동을 의식적으로 누르고 의도적으로 통제, 조절하는 것으로 모든 방어기전은 무의식적이나 유일하게 의식적인 방어기전이다.
창피한 기억들을 머리에서 지우려고 노력하고 일부러 큰소리로 잊으려고 노래 부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3.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밑바닥에 흐르는 생각, 소원 충동이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일 때 이와 반대되는 것을 강조함으로서 의식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이다.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주기, 지저분한 사람이 깨끗한 척 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4. 동일화(identification) : 개인이 어떤 집단과의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거기서 만족감을 얻으려고 하는 것으로 자아와 초자아의 형성에 중요하며 성격발달에 큰 영향을 끼친다.
프로이트의 성격발달에서 남근기시기에 외디푸스 콤플렉스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와 같은 성의 부모를 무의식적으로 닮으려고 하는 것도 동일화이다.
공격적인 충동을 억압하고 있는 사람이, 공격적인 히틀러와 같은 사람과 동일화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5. 함입(introjection) : 남에게 향했던 모든 감정을 자신에게로 향하게 하는 기전으로 자학, 우울, 자살을 유발하기도 한다.
자기와 자기 아닌 것 정도는 구분하는 시기에 일어나는 원시적 동일화이다.
6. 합일화(incorporation) : 자기와 자기 아닌것이 구분이 안 되는 상태로 대상을 통째로 삼키듯이 동화하는 것, 동일화에 포함되나 보다 원시적이고 미숙한 상태이다.
원하는 대상이나 인물을 상징적으로 삼켜서 자기 몸과 일체가 되게 하는 과정이다.
7. 보상(compensation) :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으로 인해 생긴 열등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람직한 특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키 작은 사람 증후군 혹은 나폴레옹 콤플렉스를 예로 들 수 있다. ( 키가 작은 것에 대한 열등감을 공격적이고 강력한 통제를 하는 것으로 보상받으려 한다.)
8. 합리화(rationalization) :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나 행동에 대해 이유를 붙여 개인의 행동을 정당화 하는 것으로 무의식적인 기전이다.
이솝우화의 신포도 이야기를 예로 들 수 있다.
9. 대리형성(substition) : 대리성 만족이라고도 하며 목적하던 것을 갖지 못할 때 무의식적으로 비슷한 것을 취해 만족을 얻는 것이다.
꿩 대신 닭을 예로 들 수 있다.
10. 전치(displacement) : 무의식적인 충동, 감정, 관념이 실제 대상과는 다른 대치물로 향하게 되는 것으로 전치는 감정이 옮아가는 것이고 대리형성은 대상에 중점을 두어 말을 하는 것이 차이다.
동쪽에서 뺨 맞고 서쩍에서 화풀이하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자위행위에 대한 죄책감이 손을 자주 씻는 행동으로 옮아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머니가 면회하고 간 후 이유없이 간호사에게 화를 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11. 취소(undoing) : 자신의 성적, 적대적 욕구로 인해 상대가 입었다고 상상하는 피해를 인정하지 않는 행위로 무의식적으로 없었던 것처럼 취소하는 행동이다.
반동형성은 의식이나 태도가 반대로 나타나지만 취소는 행동이 반대로 나타나며 강박신경증에서 볼 수 있다.
부정행위를 해서 돈을 번 사장이 사회사업에 돈을 내어 놓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남편이 부인을 때리고 꽃을 사다 주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12. 상환(restitution) : 배상행위를 통해 죄책감으로 인한 마음의 부담을 줄이려는 기전이다.
30년에 걸쳐 돌을 깎아 부처님 조각을 완성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아내가 죽은 뒤 수염도 안 깎고 외출도 안하는 행동을 예로 들 수 있다.
13. 투사(projection): 어떤 생각이나 행동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는 과정으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기전이며 현실을 왜곡할 수 있다. 편집증환자에게 많다.
부도덕한 성적 충동이 있는 남편이 부인을 의심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14. 상징화(symbolization) : 어떤 대상, 사상을 대변하는 다른대상, 상념을 내세우는 것이다.
꿈, 공상, 농담, 문학, 예술작품에서 볼 수 있고, 공포증이나 강박증에서 나타난다.
15. 퇴행(regression) : 현재와 같은 갈등이 없었던 시기인 이전의 초기 발달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정신분열증에서 많이 사용된다.
오줌을 잘 가리던 형이 동생을 본 후 밤에 오줌을싸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16. 고착(fixation) : 어린 시절에 지나치게 심한 좌절을 받았거나 너무 만족한 경우 이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집착하게 되는 것이다.
어린애처럼 말하거나 손가락을 입에 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17. 해리(dissociation) : 성격의 일부가 그 사람의 의식적인 지배를 벗어나 마치 하나의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경우이다.
다중성격, 지킬박사와하이디, 몽유병, 잠꼬대, 건망증, 둔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18. 부정(denial) : 의식화 되면 도저히 감당 못 할 어떤 생각, 욕구, 현실적 존재를 무의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다린 절단환자의 환상의 다리증상, 암환자가 장래계획을 세우며 즐거워 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객혈을 한 환자가 엑스레이를 안 찍으려고 하고 결과도 보지 않으려고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19. 격리(isolation) : 고통스러운 생각, 감정, 기억을 의식에서 몰아내는 것으로 고통스러웠던 사실은 기억하지만 감정은 억압하는 것으로 강박장애에서 흔하다.
자신이 불안했던 상황을 아무런 표정 없이 이야기 하는 것 등이 있다.
죽음이 임박한 환자를 감정의 변화 없이 간호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해부학 실습을 하면서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냉정하게 실습에 임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20. 승화(sublimation) : 본능의 힘, 성적 공격적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돌려쓰는 기전으로 가장 능률적이고 창조적인 기전이다.
게임, 스포츠, 취미, 예술작품, 시, 음악, 조각, 춤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나타날 수 있다.
21. 전환(corversion) : 심리적 갈등이 신체감각기관가 수의근계의 증상으로 무의식적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꾀병과 다르며 신체적으로 아무 이상이 없으나 고통을 느낀다.
시집 살이가 심한 새댁이 시어머니를 보고 목이 돌아가고 팔이 마비가 오는 것 등이 해당한다.
22. 저항(resistance) : 자아가 관여하기에는 너무 괴롭고 불안한 일이 더 이상 드러나지 않도록 무의식적으로 피하는 것이다.
기억이 없다고 하거나 트집을 잡고 화를 내고 모른다고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23. 신체화(somatization) : 심리적 갈등이 감각기관, 수의근계를 제외한 기타 신체부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이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24.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 지능이 높거나 교육정도가 높은 사람이 느낌보다는 사고로 정서적 불편을 제거하는 것으로 사고는 의식상에 남아 있지만 감정은 살짝 빼어버려 용납 못할 충동에서 오는 불안을 막는 것이다.
자신을 괴롭히는 원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함으로서 불편한 감정이 나를 압도하는 것을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25. 꿈(dreams) : 깨어 있을 때나 이룰 수 없거나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소원을 자는 동안 부분적으로 만족시키는 과정으로 사태를 예견, 예방, 연습해 보고 극복해 보려는 노력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26.행동화(acting out) : 신체적 행동이나 비행, 충동적 행동을 통해 무의식적 소망, 충동을 의식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27.이상화(idealization) : 어떤 한 좋은 부분만을 과대평가 하는 것으로 독단적인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
사랑에 빠진 사람이 상대방을 과대평가 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28. 양가감정(ambivalence) : 한 대상에 대해 반대 감정이 공존하는 것으로 사랑하는 사람에 대해 미워하는 감정을 같이 갖고 있는 경우이다.
29. 금욕주의(asceticism) :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쾌감과 즐거움을 반대하고 금욕에서 진정한 만족과 즐거움을 얻는 기제로 성직자, 승려, 수사에게서 이런 기전을 사용함을 본다.
30.애타주의(altruism) : 반동형성의 하나로 자기 본능의 만족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을 도와줌으로 내재화에 의한 대리만족을 하는 것이다.
31. 환상, 공상(fantasy) : 실제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욕구나 소원을 마음속으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상된 사건이나 정신 이미지 속에서 비현실적인 것을 상상하는 방어기전이다. 지나치게 사용하면 현실과의 접촉을 감소시킨다. 백일몽은 공상의 예이다.
32. 자신에게로 향함(turning against the self) : 본능적 충동이 남 아닌 자기에게로 향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말하는 본능적 충동이란 공격성을 의미한다.
엄마에게 야단 맞은 어린이가 화간서 자기 머리를 벽에 박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33. 증상의 형성(symptom formation) : 자아가 금지된 충동과 그것에 대항하는 자아의 반응 둘 다를 만족시키려 하는 병적인 기제이다.
임신에서 나타나는 병적 구토현상은 태아를 없앴으면 하는 금지된 충동의 표현이 신체증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34. 반복강박(repetition compulsion) : 정서질환에서 흔히 보는 양상으로 하나의 증상이고 병적 행동양상이며 사고장애이다. 잘못된, 문제가 많은 상황에 휩쓸리며 똑같은 형태의 신경증적 관계를 반복하여 맺는 것으로 무의식에서 그 사람의 행동에 대한 결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 경험은 아무 것도 가르쳐주지 못하므로 병적이라고 볼 수 있는 과정을 되풀이 하는 것이다.
35. 자기애(narcissism) : 1차적인 자기애는 자신과 외부세계를 구별할 수 없는 영아의 상태를 말하며 2차적인 자기애는 타인에게의 리비도를 철회하여 그것을 자기내부로 재투자하는 경우로 정신적 신체적 상처가 있는 경우이다.
36. 자아의 제한(limit of ego) : 갈등을 일으킬만한 두려운 상황으로부터 무의식적으로 후퇴하는 것이다.
37. 분단(splitting) : 자신이나 다른 개인의 이미지에 대하여 선과 악을 통합하지 못하는 방어기제이다. 경계선 인경 장애에서 볼 수 있다.
모든 의사는 무조건 나쁜 사람이고 모든 간호사는 무조건 좋은 사람이라고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38. 저항(resistance) :무의식에 억압된 내용을의식화할 때 이것이 의식화 되면 너무 고통스러우므로 침묵을 지키거나 기억이 안 난다고 말하는 것이다.
39. 두절(blocking) : 일시적으로 사고가 중단되는 것이다.
이야기 도중에 그 다음이 무엇인지 기억하지 못한다.
40. 유머(humor) :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한 감정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자기 느낌이나 생각을 공개적으로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방어기제이다.
41. 건강염려증(hypochondrisis): 회피와 퇴행을 위해 질병을 과정하거나 강조하는 방어기제이다.
42. 압축(condensation) : 둘 이상의 관념이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된 것을 말한다.
꿈속에서 나타난 한 사람이 얼굴은 사람 같고 몸매는 호랑이 같다는 식을 말을 하는 경우이다.
43. 통제(controlling) : 불안과 내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건이나 대상을 관리하고 조절하려고 시도하는 방어기제이다.
44. 예기(anticipation) : 미래에 나타날 정신적 고통을 미리 현실적으로 예견하고 그것에 대해 준비하는 것이다.
45. 수동공격성 행동(passive-aggressive behabior) : 타인에 대한 공격성을 수동적이며 자학적으로 자신에게 향하게 표현 하는 것이다.
수행실패, 미적거리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다음은 Bing에서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흔히 사용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10가지
- 방어기제
- 심리
- 정신건강
- 스트레스대처
- 대처방법
- 억압
- 합리화
- 전치
- 전위
- 보상
- 주지화
- 해리
- 승화
- 퇴행
- 반동형성
- 투사
흔히 #사용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10가지
YouTube에서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흔히 사용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10가지 | 방어기 제 종류 와 예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