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수경 재배 만들기 – 페트병 수경재배 초간단 수경재배기 만들기 (how to make hydroponics at home)“?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dianhac.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dianhac.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스마트한농부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1,827회 및 좋아요 1,81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수경 재배 만들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페트병 수경재배 초간단 수경재배기 만들기 (how to make hydroponics at home) – 수경 재배 만들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페트병 수경재배 초간단 수경재배기 만들기 (how to make hydroponics at home) 페트병 재활용해 집에서 상추를 키우는 방법입니다. Building an Inexpensive Hydroponics/Aeroponics System
유기농자재 쇼핑몰 (큰손 로컬푸드)
https://smartstore.naver.com/smartfarmer
▷ 스마트한농부 네이버 밴드
https://band.us/@smartfarmer
▷ 스마트한농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zmffhs77
▷ 큰손김정석소장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exsol
▷ 이메일 [email protected]
수경 재배 만들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수경 재배 처음 시작하는 당신을 위한 가이드 – 그로로
세상에 어려운 수경 재배는 없습니다. 수경 재배 쉽게 시작하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직접 수경 재배기 제작하는 법부터 배지 선택, 양액 공급과 비료 …
Source: groro.co.kr
Date Published: 3/11/2021
View: 2088
[식물재배] 2탄 상수도 관으로 자작 수경재배기 만들기 2/2
2nd 수경재배기 만들기 2/2. 식물 재배기 만드는 과정은 1/2에서는 재료를 소개해 드렸어요. 2/2에서는 제가 만들었던 과정 사진으로 소개해 드릴께요 …
Source: 0gram.tistory.com
Date Published: 11/16/2022
View: 2333
만능 수경재배기를 제작하다…(13탄)
베란다에서 흙을 추방하고 물로만 채소와 식물을 길러본다… 실험맨이 실천하는 수경재배를 배워보자..
Source: ehddhrl2791.tistory.com
Date Published: 1/30/2022
View: 9130
[유용한 정보]수경재배 양액 만들기 – easyGrow
이지그로우 easy grow easygrow 가정용 식물재배기 양액재배기 수경재배기 채소재배기 새싹재배기 hydroponcs 쉬운재배 vertical farming smart farm gardening 가드닝 …
Source: easygrow.co.kr
Date Published: 11/24/2021
View: 1735
수경재배 양액만들기 (1) 식물별 적정 양액농도(tds ec 환산 …
물푸레와 하이포넥스는 4백배, 5백배, 1천배, 2천배 등으로 희석해서 사용하라고 되어있습니다. 400배 희석은 물 2리터에 5ml, 500배 희석은 물 2리터에 …
Source: saltyliving.tistory.com
Date Published: 7/5/2021
View: 201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수경 재배 만들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페트병 수경재배 초간단 수경재배기 만들기 (how to make hydroponics at home).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수경 재배 만들기
- Author: 스마트한농부
- Views: 조회수 71,827회
- Likes: 좋아요 1,812개
- Date Published: 2019. 2.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z8zFsUUQTTc
[식물재배] 2탄 상수도 관으로 자작 수경재배기 만들기 2/2
2nd 수경재배기 만들기 2/2
식물 재배기 만드는 과정은 1/2에서는 재료를 소개해 드렸어요.
2/2에서는 제가 만들었던 과정 사진으로 소개해 드릴께요.
삼년인줄 알았더니 벌써 4년전 일이군요.
첫번째 수경재배기를 만든게 5년 정도 되었네요. 세월 참 빠르네요.
이쪽으로 창업하기 전에 테스트 해본거였거든요.
여전히 이전 회사를 다니고 있네요. ㅎㅎ
일단, 제가 설계한 구조는 ㄷ자 구조에 정면에서 보면 삼각형이 될 수 있도록 해서 광량을 효율화 하도록 하는 구조였어요.
가운데 한 단을 더 올리는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삼각형이 두개가 1층에 한개 2층에 한개 올라가는 구조죠.
먼저, 재단한 사이즈대로 관을 끼워서 조립해 줍니다.
관을 너무 큰거 쓰실필요는 없습니다. 너무 크고 두꺼우면 고생만해요.
무겁기도 하고요.
수경재배의 첫번째는 효율화 입니다.
– 공간효율화, 물사용량 효율화, 광량 효율화 모두 필요합니다.
두개의 디긋자관과 일자형관도 두개 마무리 되었습니다.
뒤에 본드 보이시죠? 저 본드를 관과 이음관 양쪽에 발라주셔야 해요.
이제는 구멍을 뚫어야죠.
원형톱날은 청계천 돌아다녀서 샀는데 구경 큰 거 구하는게 일이더군요.
너무 큰 거 사진 마시고, 재배조 사이즈 작은거 사놓고 맞추어서 사이즈 고르세요.
일단, 저는 아마 지름 7~8센티 정도 될거에요.
이런거 저런거 계산할게 매우 많아요.
이제 구멍은 다 뚫었고, 이 다음엔 사포로 다음어 주세요.
라운드형 줄로 다듬고 나서 마무리만 좀 더 해주시면 되요.
수경재배기를 올렸어요. 왜 삼각형구조라고 했는지 아시겠죠?
바닥면이 배수 때문에 경사져서 수평 맞추는데는 좀 애를 먹었네요.
뚜껑 부위에 원터치 휘팅 꽂은거 보이시죠?
이건 드릴로 뚫어서 에폭시 수지로 방수처리 했어요.
이제 배치는 끝났습니다.
빨간 점 옆에 제일 위에 구멍하나 보이시죠??
이게 입수구 입니다.
제일 밑에는 물탱크를 100리터 짜리를 놨는데 이 안에 수중모터로 물을 끌어올려요.
타이머 처리해서 여름에는 2번, 그 외 계절엔 하루 1번 정도 물을 15분간 순환시키죠.
여름에 그렇게 하는 이유는 고온이 되면, 수중에 혐기성 세균 번식을 할 수 있고,
협기성 세균 번식하면 뿌리가 썩을수도 있고 물에 냄새나요.
전, 물에 냄새난적은 한 번도 없었어요.
여기서 하나 더 수정한게 있다면…
물이 출수구 호스에서 물탱크로 바로 떨어지게 구조만 좀 바꿨어요.
대략, 30포트에서 40포트 정도면 식물 네종 정도는 네식구 실컷 먹을량 나와요.
초기에는 별도로 발아 /배양을 따로해서 이식하시면 더 효율적입니다.
결과는 매우 잘 자랐는데, 사진은 아래와 같습니다.
적근대
샐러리 입니다.
호래디쉬 잎, 청겨자, 적근대, 치커리 등을 수확한 사진이에요.
저희집은 서울 강남 대치동에 있어요. 도시농업은 꼭 공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수경재배기 셋팅만 잘하면 크게 힘들이지 않고, 다년생을 섞어 놓으면 일년 내내 싱싱한 채소 맛 볼 수 있거든요.
적근대나 샐러리는 겨울 베란다에서도 잘 자라더군요.
2017/01/22 – [Hobby/Green] – [식물재배] 2탄 상수도 관으로 자작 수경재배기 만들기 1/2
2016/11/02 – [Hobby/Green] – [식물키우기][수경재배]순환식 수경재배기 만들기.
만능 수경재배기를 제작하다…(13탄)
장마철이라 날씨가 습하고 유난히 덥군요…
안녕하세요…실험맨입니다…
너무 업데이트 기간이 길었군요…제 포스트를 기다려 주시는 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부터 드리겠습니다..
옥션에 만능 수경재배기라는 자작품을 올리면서 좀 바뻐졌는데 상품등록과 편집이 이렇게 잔손이 많이 가는지 몰랐습니다.
그리고 제 본업이 또 있는지라 좀 여유가 부족했습니다..
이제좀 여유가 생겼고 블러그의 성격상 제작법을 밝혀야 했기에 이렇게 포스트를 작성합니다..
원래는 토마토와 고추를 수경재배하기 위해서 구상하여 제작했던 제품이고, 실제로 토마토와 고추를 재배해가며 노하우를
쌓았습니다…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제품 업그레이드도 진행했구요…
토마토 모종이 나왔을때 시작했으니 4개월정도 운영을 했나보군요…
생각했던것보다 훨씬 잘자라구요…지금은 오이와 로즈마리를 재배해 보고 있습니다…
자~ 이제부터 만능 수경재배기 제작법과 사용법을 공개하겠습니다…
항상 사진 아래에 설명을 첨부하겠습니다..
이것이 재배조 3개로 구성된 만능 수경재배기 기본구성입니다…
재배박스는 스티로폼 굴박스를 쓰는데 필요한 갯수만큼 있어야겠죠..
흔히 볼수있는 프라스틱 재배포트를 밑부분을 조금 도려내 뿌리가 나올수 있도록 해주고 굴박스 덥개에 포트를 대고 조금 작게
그립니다…나중에 포트를 끼웠을때 빡빡하게 들어가야 합니다…
그린선을 따라 잘드는 칼로 수직을 유지하며 깔끔하게 잘라줍니다…쓱싹 쓱싹~~
잘 잘렸군요….
이제 포트를 넣어보아 잘 맞는지 확인하는데 유격이좀 있다싶으면 포트 둘레에 랩을좀 감고 넣으면 잘 맞을겁니다…
화초가계에서 구입할수 있는 화분 바닥망을 알맞게 잘라서…..
포트 바닥에 깔아줍니다….나중에 난석을 넣었을때 구멍으로 빠져나가는걸 방지해 줍니다…
사진과 같은정도의 파이프로 구멍을 내어줍니다….살살 돌려주면서…^^;;
두군데 구멍을 냈습니다….구멍의 용도는 하나는 에어호스가 들어갈 자리고 또하나는 수위가늠자가 들어갈 자립니다..
제가 전에 수경재배로 모종을 기를 모판을 만들었을때 구멍을 뚫으며 생긴 코르크 마개처럼 생긴 이넘을 이용해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수위가늠자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못이나 송곳으로 2/3정도를 구멍을 냅니다….
구멍낸 자리에 빨대를 꽂아넣으면 수위가늠자가 만들어 집니다…간단하지요…
하지만 전 한참만에 생각해낸 아이디어 입니다…
수위가늠자를 아까 뚫어놓은 구멍에 넣어 봅니다…당연히 빡빡하게 들어가면 안되겠지요…헐렁하게 들어가야 합니다…
구멍위로 최대한 올려본 모습인데 물이 차있으면 이정도로 떠오릅니다….가득물을 채운후 덥개를 닫으면 빨대가 올라와 있는만큼
경계부위에 매직으로 체크해 놓으면 덥개를 열어보지 않고도 수위가 어느정도 내려갔는지 확인이되며 물보충도 덥개를 열지않고
포트에 부으며 빨때의 높이를 확인하면 됩니다…간단한건데 상당히 편리하답니다….
나머지 필요 부품들을 살펴보면 위 사진은 6개의 재배조를 만들때 필요한 부속이라 참고로 하시고 3개의 재배조를 만들게 되면
에어호스 5m정도 ,에어스톤 3개, 3에어분배기1개 ,난석(소립이나 중립) 3개의 재배포트에 가득 담을만큼이 필요합니다…
구입처는 오픈마켓에서 제가 쓴 부속이름대로 검색해서 구입하시면 됩니다…보통 수족관 용품점에서 판매하지요…
에어펌프입니다..뿌리가 잠기는 양액에 공기를 녹여주어 뿌리가 물르거나 지않게 해주고 뿌리가 산소를 충분히 흡수해
왕성한 성장을 하게끔 해주는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2.5와트라 한달내내 24시간 틀어나도 몇푼 안나옵니다…
3구 에어분배기 입니다…에어펌프에서 나오는 공기를 3개의 각 재배조로 분산시켜주는 역활을 하죠…
파란 부분을 돌리면 에어량을 조절할수 있습니다…놀리는 재배조는 에어를 막아놓을수도 있지요…
미니 에어스톤입니다….재배조 3개라서 3개가 필요합니다…
역류방지기 입니다…재배조의 물이 에어펌프로 역류하여 고장나지 않도록 에어호스에 끼우는건데 앞뒤방향은 입에대고 불어보면
금방 알수 있습니다…불어지는 방향쪽으로 에어가 진행해야 하지요..
에어호스를 조금씩잘라 역류방지기를 끼운후 에어펌프에 끼워줍니다…
3구 에어분배기를 연결합니다…요렇게 끼우고 3갈래 에어호스를 끼워줍니다…에어호스는 양팔을 벌린만큼 잘라서 3개를 준비해
놓으면 됩니다…1m좀 넘겠죠?….알아서들 필요한 만큼 자르세요…
잘라논 3개의 에어호스를 분배기에 연결한 모습입니다…
분배기에 연결된 에어호스를 덥개에 뚫린 나머지 한개의 구멍에 집어넣고 미니 에어스톤을 키웁니다…
끼워놓고 나면 이렇게 됩니다…호스를 먼저 구멍에 넣고 끼워야지 에어스톤을 먼저끼우면 구멍에 안들어 갑니다…
자~ 거의다 완성이 되었군요….
철물점에서 파는 재활용봉지를 재배조에 깔아야 합니다…처음에 실험맨은 이 비닐을 안쓰고 양액을 그냥부어 운영하다가 수압에
의해 스티로폼벽으로 메세하게 물들이 새어나와 낭패를 본 경험이 있습니다…설마 이 두꺼운 박스가 물이 샐줄은 몰랐던거죠..
반만 채우면 안새는데 가득채우면 수압이 꽤 작용하나 봅니다… 처음에는 어디서 새는줄도 모르고 불량인줄만 알다가 수압으로
벽면에서 송글송글 땀나듯이 물이 샌다는걸 알았답니다…그래서 비닐을 씌웠더니 한방울도 새지않고 완벽합니다…
스티로폼에서 약간의 화학냄새가 나는데 혹시모를 유해성분이 양액에 녹아드는것도 방지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요렇게 깔면 됩니다…주의할것은 비닐에 구멍이 있을시 누수가 될수도 있으니 깔기전에 미리 바람을 불어너 확인을 해보던지
아니면 나중에 양액을 부어줄때 새는지 한번정도 확인해 보면 됩니다…저는 여러개를 깔았으나 불량으로 인해서 새는건 없더군요..
그래도 꼭 누수여부 확인해야 합니다….
다깔고 마무리는 덥개를 덮은후 깔끔하게 각을 잡아줍니다…군대 각처럼요…연두색비닐이 싫다면 흰색도 있습니다…
재배포트 종류를 한번 볼까요? 좌측 밤색포트는 앞서 설명한 포트로 다들 잘 아실겁니다….
우축아래 파란색 포트는 싱크대망으로 구조가 재배포트로는 최적입니다…원래는 밤색 포트를 쓰다가 내치고 새로 업그레이드한
재배포트입니다…제가 판매하는 수경재배기에 기본포트로 장착되어 나갑니다…
우측상단 넘은 대용량포트(묘목용)로 뿌리가 크게 자라는 식물 묘목에 적합한 포트입니다…
웬만한건 파란색 포트로 다 소화가 돼지요…토마토처럼 크게 자라는것도 뿌리는 다 포트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제가 쓰는 기본 포트가 장착된 모습입니다….
대용량(묘목용)포트가 장착된 모습입니다…
기본 재배포트로만 장착된 3형제 입니다….
대용량 1개와 기본 재배포트 2개로 구성시킨 모습입니다….
기본 재배포트를 1개 장착했을때 아래 모습입니다…
기본재배포트를 5개를 장착했을때 모습입니다…상추나 케일같은 밀집해서 키워도 좋은 잎채소류나 넝쿨과로 오이,호박,참외,수박,
같이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식물을 기르기에 적합합니다…
안에서 본 모습입니다….
대용량1개 엽채류용(5개1세트)1개 기본포트1개로 구성해본 모습입니다….놀고있는 아파트 화단에 배치해 봤더니 훌륭하더군요…
이걸 매립이라고 해야하나요….ㅎㅎ
화단에 굳이 지저분하게 흙을채우지 않아도 수경재배로 깔끔하게 재배할수 있죠…
넝쿨과 식물을 재배하면 감당못할 정도로 됩니다….
6개 재배조로 구성해본 모습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 이제 재배통에 양액을 채워야할 차례인데 이때 양액을 제조하려면 수경재배 비료가 있어야 하겠죠…
마음에 드는 수경재배 비료를 찾기가 힘드실겁니다….이건 제가 옥션에서 팔고있는 수경재배 비료인데요…^^*
현재 제가 쓰고있는 비료입니다…
*성분: 질소 21.5% 인산 9.5% 가리 43% 칼슘 14% 붕소 0.2% 망간 0.07% 아연 0.007% 수용성고토 5.5% 수용성철 0.35%
두가지를 합산한 성분이구요…원예연구소에서 최적의 비율로 계산돼 수경재배 전용비료로 생산되어 지는것이라 믿을만하고
성능 좋습니다…
a제와 b제로 나뉘어져 있는데,,이유는 b제에 칼슘이 섞여있고 a제에 미량원소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a,b가 서로 섞이게되면 화학적으
로 성분변화가 일어나 a제에 함유되어있는 미량원소들이 소실된답니다…그리고 두가지를 섞어서 보관해보면 하루가 채 안되서
노랗게 축축하게 변해버립니다…비료로서의 제 구실을 못합니다… 수경재배 전용비료를 1개의 봉지로 담아 판매한다면 아마 반쪽짜리
비료라고 생각해도 될겁니다…아니면 중요한 칼슘성분이 빠져있거나요…사실 b제만으로 어느정도 잎채소류를 재배할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성분은 두개를 섞은걸로 표기하고 판매는 b제하나만 하는곳도 있더군요… 제대로 수경재배를 하려면 2가지로 나뉘어져있는
비료를 구입해야 합니다… 사진에 8cc,10cc계량스푼이 있는데요 제가 직접 20cc시럽병을 잘라서 만들었습니다.
판매시 동봉되구요…설명서대로 계량하면 거의 정확히 편리하게 농도를 맞출수 있습니다…
잎채소류나 청양고추는 1.5ds/m정도이니 a제8cc+b제8cc를 계량컵에 꼭 눌러담아 깎아서 b제부터 1분간 물에녹이고 a제를녹임..
토마토나 가지,오이 종류는 2.0ds/m정도이니 10cc+10cc를 같은방법으로 계량해 녹여주면 됩니다..
아래 표를 참조하세요….
시중에서 파는 식물영양제 인데요….ec농도를 측정해보니 3.3ds/m 정도가 나오던데요…
물조루에 a제18cc+b제 18cc를 타면 이정도 농도가 나옵니다…
다쓴 영양제 통들을 구해 양액을 빨아들여서 만들어 놓으면 두고두고 식물영양제 살일은 없을겁니다…
작물재배;1000-1500;1 식물;2000-3000;1
보통의 반정도 농도로 양액을 탄후 식물들에게 물줄때 부어준다던가…양액 전체갈이를 해줘야 할때 폐양액을 버리지 마시고
식물화초들 물줄때 희석해서 주세요… 그냥 물만 줄때보다 확연히 틀릴겁니다…
수경재배비료는 생활에서 쓰임새가 많습니다… 또 생각보다 꽤 오래씁니다..
좀더 자세한 식물별 ec농도표는 수경재배정보란에 곧 올려드릴테니 참조하세요…
이제 양액을 만들 차례입니다…1.5ds/m 농도의 양액을 만든다고 하면 우선 b제를 8cc계량스푼에 가득눌러담아 칼같이 깎습니다…
철물점에서 파는 7리터짜리 물조루(다 아시죠?)에 2/3정도만 물을 채운후 털어넣고 ….
손으로 녹아드는 알갱이를 느껴가며 약 1분정도 열심히 저어줍니다…
다 녹으면 a제도 마찬가지로 계량해 털어넣고 1분정도 저어줍니다…
주의: 두가지 비료를 동시에 넣고 녹이면 안됩니다….필히 다녹인후 넣습니다…
다 녹였으면 물조루상단 3cm정도 못미치게 물을 채워줍니다…물조루에 매직으로 체크해논 선 보이시죠…
물조루는 샤워기처럼 나오게하는 부분을 제거후 사용해야 편리합니다…
ec농도측정기로 체크해보니 1.55ds/m이 나오는군요…이런식으로 타면 거의 평균 1.5정도가 나옵니다…
재배조에 비닐을 깐후 제조한 양액을 부어줍니다….물조루 한통이면 재배조 하나에 거의 찹니다…재배조에 가득채우는게 아니라
1.5cm정도는 덜채워야지 나중에 재배포트가 장착된 덥개를 덮을때 넘치지 않습니다…제가 비닐을좀 정리를 못했죠…쩝…
구입해온 모종을 뿌리가 상하지 않게 물에 깨끗하게 씻어서 준비해둡니다….
이때가 한창 토마토,고추모종이 나올때여서 고추로 보여 드리는겁니다…
모종을 사지않고 집에서 모종솜으로 직접 씨앗으로 재배해 심을수도있고 수경재배 가능한 화초(거의가능)를 뿌리를씻어
옮길수도 있습니다…
재배포트 바닥에 뿌리를 위치하고 난석을 가득 채웁니다….뿌리가 빨리 바깥으로 나갈수 있도록 바닥가까이에 위치하는겁니다…
난석으로 가득채워 고정시켰습니다….난석이 좋은점이 자칫 더러워지는 물을 정화시켜 준다는 겁니다…
그래서 수족관 여과기의 여과재로 난석을 많이쓰기도 합니다…난석이 가벼운이유가 미세한 구멍이 많아서이고 그곳에 물을 정화시키
는 미생물들이 우글우글 살게 되는거죠….그런 메커니즘으로 물이 정화되어집니다….
수돗물로 난석의 먼지를 깨끗하게 씻어냅니다…깨끗한물이 나올때까지..
드디어 재배조에 장착을 시켰습니다….고추 모종뒤에 갓 심어논 토마토 모종이 보이는군요….
어느정도 지난후 이렇게 자라났습니다…. 6개재배조를 두줄로 했다가 일렬로 바꿨습니다…
아이들이 오다가다 익은 방울토마토를 하나씩 따먹는데 워낙 깨끗하게 재배되는지라 씻지않고 따먹어도 걱정이 안됩니다..
토마토가 2m가까이 자라버렸습니다….정말 조건만 맞춰주면 정말 잘 자라는군요…
토마토 뿌리가 겁나게 나와있습니다…저기 구석에 에어호스가 보이는군요…에어스톤이 양액속에 잠겨있어 공기방울을 열심히
방출하고 있습니다…조립하고나서 시험운영할때 분배기의 조절구와 에어발생기의 에어조절부를 돌려 적절한 에어량을 조절해
줍니다…에어는 적당히 발생되면 되구요…너무 많이 발생해봤자 시끄럽기만 합니다….
수위가늠자가 물에 부력으로 떠 있습니다….많이 내려가 있으면 양액보충을 해줍시다…
물보충을 할때에는 많지않는 양이면 직접 포트에 부어주면서 수위가늠자를 체크합니다…
보충시의 양액농도는 원시농도의 1/2정도라고 합니다…자주 보충해 줬으면 적당한 시기에 한번씩 전체갈이를 해줍니다..
가라앉아있는 찌꺼끼들도 제거할겸 손펌프로 빨아내어 제거하고 새고 부어줍니다…
최근에 로즈마리를 화분에서 빼내어 수경재배기에 입주 시켰습니다….이넘이 물때문에 여간 스트레스를 받은게 아닙니다…
좋은환경에서 잘 자라길 바랍니다….
입주를 시켰습니다…옆에 오이 친구들도 있네요…
오이는 이미 훌쩍자라서 여기저기 새끼오이를 매달고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오이재배조에는 포트 3개만 장착해 봤습니다…
조그만 했던 오이 셋이 꽤 커졌습니다…얼마있으면 오이를 따먹을수 있겠군요…
손에 들고있는것은 씨앗 발아용 모종솜입니다…
제가 팔고있는 만능수경재배기에 기본적으로 재배조 만큼 제공해 주는데요..
아래에서와 같이 씨앗을심어 물에 담가놓으면 발아가 되서 포트에 그대로 넣어주면 재배가 됩니다…
아주 편리합니다…
지금까지 밤을 새워가며 만능 수경재배기의 제작방법을 공개 하였습니다…
손재주 좋으신 분들은 한번 만들어 보시고 ….영 자신이 없으시다면 아래사이트로 방문해주세요…^^
<수경재배기>
http://easyhydro.co.kr/shop/shopbrand.html?type=O&xcode=001
<수경재배비료>
http://easyhydro.co.kr/shop/shopbrand.html?type=O&xcode=003
요즘 거의 업데이트를 못하다가 벼뤘던 포스팅을 마치게되어 정말 기쁩니다..ㅎㅎㅎ
날을 새며 작성했는데 중간에 천둥이 너무크게 쳐서 깜짝놀랐네요….비바람도 장난이 아니었구요..
훤히 날이새는 바깥을 바라보고 있는데요…어디선가 닭울음 소리가 들리는군요…
무슨 도시 아파트 단지에 생뚱맞게 울음 소리가…
앞으로 포스트를 짧게라도 자주 올리겠습니다…
어떤분이 왜 업뎃을 안하냐고 묻더군요….
만능수경재배기에도 다양한 재배실험은 계속됩니다….
찾아주시는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꾸벅…
[유용한 정보]수경재배 양액 만들기
● 액체형 양액도 물과 희석후에는 잘 섞어 주어야 합니다. 희석 후 잘 섞어주지 않으면 물통에서 처음 따르는 양액과, 맨 나중에 따르는 양액의 농도 차이가 약 두배 정도까지 이릅니다.
● 빛의 양이 적절하고, 온도가 선선하고, 환기가 잘되는 경우에서라도, 양액이 묽은 경우는 식물이 더디게 자랍니다. 같은 조건에서 토경 재배보다 수경 재배에서 식물이 느리게 자란다면 양액이 너무 묽기 때문입니다. 수경 재배에서는 필요한 양분을 비율에 맞게 인위적으로 공급하고 식물이 양분을 잘 흡수하므로 식물이 자라는 속도가 토경 재배의 경우보다 더 빠릅니다.
● 양액의 희석 농도는 빛의 양과 밝기, 온도, 환기에 따라 기준보다 묽게 또는 진하게 조절하여야 합니다. 빛의 양이 적절하고, 온도가 선선하고, 환기가 잘되는 경우 기준 농도로 희석합니다. 여름철 고온인 경우는 기준 농도보다 묽게 희석합니다. 직사광선 햇빛을 오래 받는 경우도 기준 농도보다 묽게 희석합니다.
● 식물이 양액을 잘 흡수하는 경우는 식물이 흡수한 만큼, 새롭게 희석된 양액으로 보충하여 줍니다. 2주 간격 정도로 전체 양액을 새로이 교체하여 주세요. 양액은 자주 교체하여 주면 줄수록 식물에게는 좋겠지만 폐양액에 따른 환경오염과 물 낭비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반대로 오랫동안 양액을 새로 교체 안하고 보충만 해주면 질산염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특히 빛이 약한 경우 더 심함)
● 양액의 pH가 적정하지 (5.5~6.5) 못하면 식물이 양분을 흡수하지 못합니다. 양액이 오래될 수록 식물이 특정 양분을 많이 흡수하고 이온의 발란스가 바뀌면서, 양액의 pH는 자꾸 산성쪽으로 변해갑니다.
● 비료 제조사의 기준대로 희석하였는데도 잎 끝이 타는 Nutrient Burn이 일어난다면, EC나 pH 값을 측정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양액의 관리는 pH, EC, 온도, 용존 산소가 중요합니다.
● EM용액은 유익한 미생물입니다. 토경 재배시 각종 유기물을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무기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미생물을 보호하고, 바이러스나 나쁜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고자 씁니다. EM용액만으로는 비료가 될 수 없지요.
● 양액은 무기질 액체 비료이고, 살충제가 농약입니다.
#수경재배 #양액 #양액문제 #양액농도 #양분과다 #양분결핍 PH #EC #TDS #팁번 #Nutrient_burn #수경재배기 #식물재배기 #LED재배기 #hydroponics #이지그로우 #스마트팜 #양액만들기 #희석농도 #희석 #액체비료
수경재배 양액만들기 (1) 식물별 적정 양액농도(tds ec 환산), 수경재배 비료 추천
[목차] 1. 가정에서 수경재배 양액조제가 힘든 이유 2. 물의 양에 따른 희석비율 (물푸레, 하이포넥스) 3. 양액을 희석하는 방법 4. 수경재배 비료 추천 5. 양액의 ppm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 6. 전기전도도(ec)를 티디에스(tds)로 환산하는 방법1. 가정에서 수경재배 양액조제가 힘든 이유
지난 시간에는 식물에게 필요한 필수영양소와 복합비료의 성분에 대해 공부했고 이번 시간에는 구체적으로 수경재배 양액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닐하우스나 온실에서 대규모로 수경재배 농사를 짓는 농부들은 단일성분의 비료를 각각 구입해서 필요한대로 혼합해서 양액을 조제합니다. 하지만 베란다에서 소규모로 수경재배를 하는 사람들은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지금까지 공부한 비료성분에 더해 필수원소의 화학식과 희석농도에 대해서도 더 깊이 공부해야 합니다. 공부하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단일성분 비료 중에서 미량원소라 사용량이 적지만 판매처에서 소포장 판매를 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좀 부담스러운 성분이 있습니다.
기업농과 가정농(?)의 차이점은 또 있습니다. 기업농가는 소품종 다량재배인데 비해 가정농가는 다품종 소량재배입니다. 각 채소나 과일별로 적절한 성분과 농도가 다른데 전문적인 농가에서는 소품종을 다량재배하기 때문에 일일이 종목별로 최적의 성분을 맞춰줄 수 있으나 가정에서는 수많은 품종을 한두 포기에서 많아야 몇 포기 정도밖에 재배하지 않기 때문에 식물마다 전용 비료를 배합하려고 한다면 아마 그 과정에서 골치가 상당히 아플 것이라고 예상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경재배 양액을 직접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글을 올리도록 하고 여기서는 이미 조합해서 판매하고 있는 수경재배 비료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물의 양에 따른 희석비율 (물푸레, 하이포넥스)
비전문가에 소농인 베란다 농부들은 제조회사에서 이미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비료를 구입해서 필요에 맞게 희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지난 시간에 알아본 것처럼 대유 물푸레는 엽채류와 과채류용이 따로 나오고, 하이포넥스는 성장기 비료와 개화촉진제가 따로 나오고 그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도 따로 있습니다.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는 성장시기별, 용도별 비료가 가장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비료의 표면에 사용설명서가 붙어있기 때문에 그대로 따라하면 됩니다.
물푸레와 하이포넥스는 4백배, 5백배, 1천배, 2천배 등으로 희석해서 사용하라고 되어있습니다. 400배 희석은 물 2리터에 5ml, 500배 희석은 물 2리터에 4ml, 1천배는 물 2리터에 2ml, 2천배는 물 2리터에 1ml를 타서 잘 흔들어주면 됩니다. 가루형태로 되어있는 하이포넥스 미분도 마찬가지입니다. 400배 희석은 물 2리터에 5g, 500배 희석은 물 2리터에 4g, 1천배 희석은 물 2리터에 2g, 2천배 희석은 물 2리터에 1g을 넣고 흔들어주면 됩니다. 물의 비중이 1이어서 무게와 부피가 같기 때문입니다.
[표] 물의 양에 따른 희석비율 (물푸레, 하이포넥스)희석비율 물의 양 대유 물푸레 하이포넥스 미분 400배 1리터 2.5ml 2.5g 2리터 5ml 5g 500배 1리터 2ml 2g 2리터 4ml 4g 1000배 1리터 1ml 1g 2리터 2ml 2g 2000배 1리터 0.5ml 0.5g 2리터 1ml 1g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400배를 희석할 때는 용기에 양액 5ml를 넣고 물을 부어서 2리터를 맞추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물 1995ml에 양액 5ml를 합하게 되는데 실제로는 2000ml에 5ml를 넣는 것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어차피 빛의 양이나 계절에 따라 성장속도가 다르고, 잎의 크기와 갯수에 따라 증산량이 달라서 같은 농도의 양액을 주어도 화분에 남은 양액의 농도에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몇 ppm 정도의 차이는 가뿐하게 무시하기로 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물푸레의 경우 A액과 B액이 있는데 400배로 희석하면 A액과 B액을 합해서 5ml가 아니고 각각 5ml씩 넣는 것입니다. 합하면 10ml입니다. 하이포넥스는 한 가지만 있으므로 5g을 넣으면 됩니다.
3. 양액을 희석하는 방법
정확한 희석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물 1리터, 2리터를 잴 수 있는 용기가 있는 것이 좋은데 2리터 들이 생수병이 가장 편리한 것 같습니다. 물을 거의 꼭대기까지 가득 채우면 2리터입니다.
다음으로는 ml를 잴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합니다.
맨 왼쪽의 동그란 통은 물푸레 양액을 샀을 때 함께 온 것인데 20ml까지 잴 수 있고 5ml 단위로 눈금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배 모양의 길쭉한 용기는 하이포넥스 개화촉진제 뚜껑입니다. 좁은 쪽은 5ml, 넓은 쪽은 10ml와 20ml를 잴 수 있습니다.
오른쪽의 초록색 숟가락 같은 것은 하이포넥스 미분에 들어있습니다. 작은 쪽은 1그램, 큰 쪽은 2그램을 잴 수 있습니다.
주사기는 지금 쓰고 있는 것은 10ml 짜리인데 1ml나 5ml 짜리를 구입하면 더 정확하게 잴 수 있습니다. 단위가 표시되어 있는 부분의 인쇄가 잘 지워져서 새로 산 주사기에는 투명테이프를 붙여두었으니 오래 사용해도 인쇄가 흐려지지 않을 것입니다.
물푸레 400배 희석액은 약 1040~1220ppm, 500배 희석액은 약 910~930ppm 정도 나옵니다. 1천배는 460ppm, 2천배는 280ppm 정도 나오는데 주사기를 사용한다고 해도 오차가 있기 때문에 매번 같은 농도의 양액이 나온다고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하이포넥스 미분 5g을 물 2리터에 녹이면 400배가 되는데 1400ppm이 나옵니다. 1g을 녹이면 2천배 용액이 될 것이고 280ppm이 될 것입니다.
하이포넥스 미분을 녹여서 양액을 만들 때 주의할 것은 오래 흔들어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칼슘 성분을 잘 녹이지 않으면 바닥에 가라앉습니다. 칼슘을 잘 녹이기 위해서 양액을 믹서기에 넣고 갈면 좀더 녹지만 이 방법도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화분에 액비를 줄 때 잘 흔들어서 주는 수밖에 없습니다.
하이포넥스미분의 칼슘만 가라앉는 것이 아니고 액체 형태로 된 물푸레나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도 물에 타면 물보다 무거워서 아래로 가라앉습니다. 사진에서 보듯이 윗부분은 맑고 아랫부분은 진한 색입니다.
생수병 뚜껑을 덮고 위아래로 흔들어주면 골고루 섞입니다. 처음에 이 사실을 모르고 양액을 생수병에 넣은 후 윗부분에 수질측정기를 넣고 ppm을 측정하다가 아무리 양액을 넣어도 ppm이 올라가지 않아서 50ml 가까이 넣은 적도 있습니다. 왜 이렇게 많이 들어가지, 양액 정말 헤프네 했는데 알고보니 다 가라앉은 것이었습니다.
(출처 https://gh.growgh.com/docs/Feedcharts/GH_FloraSeries-REC_03216am.pdf)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는 미국산인데 미국의 도량형은 갤런이나 파운드를 많이 쓰기 때문에 미터법에 익숙한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릅니다.
위의 표는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 플로라 시리즈의 희석비율에 대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스케줄 표입니다. 물 1갤런(3.79리터)에 각각의 용량을 넣을 때 얼마 정도의 ppm이 나오는지 함께 표시되어 있습니다. 생수병 2리터짜리에는 여기 나온 용량의 약 2분의 1을 배합하면 됩니다.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에서 나온 스케줄표에서 기본 영양소와 개화기와 수확기에 사용하는 특수비료 1가지만 뽑아보았습니다. 위 표는 1갤런(3.79리터) 기준이므로 대충 나누기 2를 해서 2리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임의로 계산을 바꾸었습니다. 정확한 ppm을 맞추려면 희석비율만 보지 말고 수질측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표] 제너널 하이드로포닉스 플로라 시리즈 스케줄 (2리터 생수병 기준)성장기 개화기 주수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 단계 육묘기 성장
초기 성장
후기 이행기 개화
초기 개화
초기 개화
중기 개화
중기 개화
중기 개화
말기 양액농도 (ppm) 350~ 400 1050~
1350 950~
1400 900~ 1300 950~
1300 1000~ 1400 1000~
1400 1000~
1400 1050~
1400 1000~ 1300 플로라 마이크로 1.3ml 4ml 5.3ml 4ml 4ml 4ml 4ml 4ml 4ml 4ml 플로라 그로 1.3ml 5.3ml 5.3ml 4ml 1.3ml 1.3ml 1.3ml 1.3ml – – 플로라 블룸 1.3ml 1.3ml 2.6ml 4ml 5.3ml 5.3ml 6.6ml 6.6ml 7.9ml 7.9ml 플로라 넥타 – – – 2.6ml 2.6ml 2.6ml 5.3ml 5.3ml 5.3ml 5.3ml
이에 따르면 발아후 1주에는 350~400ppm, 2주부터는 900~1350 ppm 정도를 주라고 합니다. 물푸레나 하이포넥스는 2천배를 타면 280ppm 정도 됩니다.
그러니까 발아직후에 스펀지로 옮긴 다음부터는 맹물에 키우지 말고 2천배보다 조금 진한 희석액에 키우다가 점점 양액농도를 높여주는 것입니다. 엽채류의 경우에는 그대로 계속 키우면 되고, 과채류의 경우에는 꽃이 피기 전부터 서서히 질소 성분을 줄이고 인과 칼륨을 늘려서 생장을 억제하고 개화를 준비하도록 합니다. 개화기 이후 수확할 때까지 계속 질소를 줄이고 다른 영양소를 늘리도록 합니다.
4. 수경재배 비료 추천
수경재배 양액 완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료 각각의 성분을 세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이미 조제되어 있는 양액을 용도에 맞게 구입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비료의 성분과 가격을 비교해 본 결과 엽채류를 키울 때는 하이포넥스 미분을 추천하고, 과채류를 키울 때는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를 추천합니다.
엽채류는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지 않기 때문에 성장시기에 따라 양액의 성분을 조절할 필요가 없습니다. 양액의 농도만 조절하면 되는데 위에서 본 것처럼 2천배부터 시작해서 1천배, 5백배로 작물에 맞게 서서히 올리도록 합니다. 하이포넥스 미분에는 식물에 필요한 미량요소까지 다 들어있고 500g 짜리 미분을 구입하면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이포넥스 미분에는 칼슘 성분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저칼슘 채소를 키우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과채류는 육묘기, 성장기, 개화기, 수확기에 따라 양액의 성분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나온 제너럴 하이드로포넥스 플로라 시리즈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플로라 마이크로는 전 시기에, 플로라 그로는 성장기와 개화기에, 플로라 블룸은 개화기와 수확기에, 플로라 넥타는 개화기와 수확기에 맞도록 성분이 배합되어 있습니다.
국산 제품들은 엄밀히 말하면 수경재배 전용비료가 아니라 관주용입니다. 관주용이란 토경재배에 사용하는 수용성 비료라는 뜻입니다. 토경재배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미량원소가 빠져있고, 비료의 성분도 작물의 특성과 성장시기에 맞도록 정확하게 배합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미량원소가 부족한 양액을 사용해서 키운 식물에 특별한 이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여도 그 식물을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미량원소 결핍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직접 수경재배로 키운 채소 외에도 시장에서 구입한 다른 채소들을 섭취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직접 키운 채소 밖에 먹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5. 양액의 ppm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
이 기구는 수질측정기입니다. 비싼 것은 비싸지만 가정용 tds 수질측정기는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tds는 total dissolved solids의 약자로 물에 녹아있는 물질의 총량을 나타내며 ppm으로 표시합니다. 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비료 각각의 성분을 알 수는 없습니다.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에서는 육묘기에 350~400ppm을 주라고 하는데 이는 수도물 농도의 4~7배 정도 됩니다. 집에 있는 수돗물은 보통 50~100ppm 정도 되므로 맹물만 주어도 식물이 죽지는 않지만 자라지도 않습니다. 어린 싹은 떡잎에 저장되어 있는 양분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 자라기는 하지만 비료를 공급하지 않으면 일명 얼음 상태로 성장이 정지됩니다.
수질측정기가 있으면 대단히 편리합니다. 양액을 얼마 넣었는지 깜빡했을 때, 화분에 남은 양액 농도를 알고 싶을 때 아무 때나 전원만 키면 ppm을 알 수 있습니다. 정신이 없을 때는 양액을 희석하는 도중에도 얼만큼 넣었는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수질측정기가 있는 것이 좋습니다.
6. 전기전도도(ec)를 티디에스(tds)로 환산하는 방법
농촌진흥청의 양액재배방법에 대한 자료를 보면 적정 급액농도를 ppm이 아닌 dS/m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dS/m는 전기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ec를 tds로 환산할 때 미국은 ×500, 유럽은 ×640, 호주는 ×700을 한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640이 많이 쓰입니다. 1.4×640=896이고 2.5×640=1600이므로 토마토의 적정 양액농도는 1152~1600 ppm이 됩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토마토의 양액농도는 1400~3500이라고 되어 있어 차이가 많이 납니다. 만일 토마토에 3500ppm을 주었다가는 뿌리에 화학적 화상을 입어서 당장 고사하고 말 것입니다.
농촌진흥청의 자료를 기준으로 집에서 많이 재배하는 작물들의 EC를 TDS로 환산해보았습니다. 유럽식으로 ×640을 했습니다.
[표] 식물별 수경재배 양액 농도종류 EC (dS/m) TDS (ppm) 딸기 0.8~1.5 512~960 고추 0.9~2.5 576~1600 애호박 1.0~1.5 640~960 멜론 1.2~2.4 768~1536 상추 1.2~1.6 738~1024 치커리 1.2~1.6 738~1024 오이 1.3~3.0 832~1920 토마토 1.4~2.5 896~1600 가지 1.4~3.5 896~2240 갓 1.5~2.5 960~1600 수박 1.8~2.4 1152~1536 청경채 2.0~2.5 1280~1600 파프리카 2.2~3.0 1408~1920
(출처 http://lib.rda.go.kr/search/mediaView.do?mets_no=000000141282)
위의 표에서 딸기를 예로 들면 512~960ppm으로 관리하라고 되어있는데 이 범위는 성장한 개체가 활발하게 광합성을 하는 기준으로 하며 왼쪽 숫자인 512은 여름철, 오른쪽 960은 겨울철의 급액농도를 말합니다. 여름에는 수분증산량이 많기 때문에 겨울과 같은 농도의 양액을 주었다가는 식물이 물을 더 많이 흡수해서 양액이 농축되어 ppm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우리집 토마토가 말라죽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겨울에는 여름의 약 1.5~2배 정도의 농도로 공급하도록 하며, 양액의 농도를 측정해서 농도가 높으면 물만 주거나 주기적으로 양액 전체를 교체하는 등 관리에 신경쓰도록 합니다. 날은 더운데 해가 잘 들지 않아서 광합성양이 많지 않을 때도 양액농도를 낮추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아파트 베란다는 여름에는 온도는 높지만 해가 많이 들지 않으므로 양액농도를 더 낮추어야 할 것입니다.
양액농도는 좀 낮은 듯이 관리하는 편이 높은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물론 너무 낮으면 여러가지 영양분 결핍증상이 나타나지만 농도가 약간 낮으면 좀 늦게 자라는 정도입니다. 반대로 양액농도가 높으면 가장 먼저 양액을 흡수하는 뿌리부터 상해서 흐물흐물 녹아버리고 뿌리가 녹으면 잎이나 줄기도 점점 시들어 결국 말라죽게 됩니다.
[요약]식물과 성장시기에 따라 다른 양액 농도와 성분으로 키운다.
엽채류에는 하이포넥스 미분을, 과채류에는 제너럴 하이드로포닉스를 추천한다.
육묘기에는 약 2천배나 350~400ppm의 농도로 양액을 공급한다.
성장함에 따라 점차 양액농도를 높이고, 여름에는 겨울보다 묽게 공급한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수경 재배 만들기
다음은 Bing에서 수경 재배 만들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페트병 수경재배 초간단 수경재배기 만들기 (how to make hydroponics at home)
- 수경재배기
- 수경재배방법
- 양액비료
- 식물LED
- 실내텃밭
- 수경재배 만들기
- 수경재배 비료
- 수경재배 양액
- 수경재배 led
- 수경재배 상추
- 수경재배인삼
- 수경재배 발아
- 수경재배 원리
- 수경재배 인삼
- 수경재배 식물
- 수경재배 가능 식물
- 수경재배 기술
- 수경재배 공장
- 수경재배 경제성
- 수경재배 가능한 식물
- 수경재배 농장
- 수경재배 나무
- 수경재배 ec
- 수경재배 방법
- 수경재배 배지
- 수경재배 배양액
- 수경재배 베드
- 수경재배 시스템
- 수경재배 스마트팜
- 수경재배 영양제
- 수경재배 아두이노
- 수경재배 작물
- 수경재배 장점
- 수경재배 자재
- 수경재배 장치
- 수경재배 채소
- 수경재배 뿌리
- 수경재배 ph
- 양액비료만들기
- 텃밭만들기
- 텃밭가꾸기
- 주말농장
- 큰손김정석소장
- 김정석소장
- 스마트한농부
페트병 #수경재배 #초간단 #수경재배기 #만들기 #(how #to #make #hydroponics #at #home)
YouTube에서 수경 재배 만들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페트병 수경재배 초간단 수경재배기 만들기 (how to make hydroponics at home) | 수경 재배 만들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