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튜브 트레일러 |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238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수소 튜브 트레일러 –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dianhac.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dianhac.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국토교통부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1,880회 및 좋아요 33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수소 튜브 트레일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 수소 튜브 트레일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세상의 여러 직업을 찾아 떠나는 굿잡(Good Job)!
수소 에너지 전문가편,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수소 에너지 전문가는 수소제조 플랜트를
생산관리 및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소 에너지는 생산원료인 메탄올과
정제된 물과 함께 260~300도 온도로 가열한 뒤
높은 압력을 가해서 수소와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수소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6kg의 수소가 필요합니다
(주)SPG수소에서는 하루에 4300kg의 수소를 생산해
공급하고 있어 하루 700대 이상의 수소차 충전이 가능합니다.
또한 안산시에서는 수소 시범도시를 계획하고 있는데요.
기본요소로 주거, 교통, 인프라 관리가 있고
특화된 요소로는 지역 특화사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안산 수소 시범도시에는 경기 행복주택, 공공하수처리장,
수소충전소, 수소선박충전소 등이 있고 이를 활용한
농업, 제조업, 관광업, 에너지 산업까지 계획하고 있습니다.
안산에 생긴 수소 충전소는 기존 카트리지로 수소를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안산시 내에서
배관으로 공급하는 최초의 충전소입니다.
배관으로 공급을 진행하기에 수요가 늘어나도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급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굿잡 (Good Job)에서 보고 싶은 직업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D
#아무튼출근 #신재생에너지 #수소에너지전문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molit.go.kr/

수소 튜브 트레일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기획] 국내 수소튜브트레일러 산업 현황&전망 – 투데이에너지

수소튜브트레일러는 고압·대량의 수소가스를 수소충전소, 산업용 수요처 등에 운송해 수소의 안정적인 수급과 운송에 필수적인 장비로 기존 국내에는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todayenergy.kr

Date Published: 6/29/2021

View: 1768

[공통기획] 새정부의 에너지정책 수소경제는 계속 된다진화하는 …

최근 개발한 튜브트레일러의 경우 수소저장량 750kg, 차량 길이 13m, 차량 무게 30톤 미만으로써 기존 타입Ⅰ 튜브트레일러 수소저장량 340kg, 차량 길이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gasnews.com

Date Published: 5/17/2021

View: 5204

수소 튜브트레일러(T/T) 이용 수소 유통 가능 – 에너지데일리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수소 튜브트레일러(T/T)를 이용한 수소 유통이 가능해지는 등 수소운송 인프라가 확충돼 보다 저렴하게 수소를 유통할 수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energydaily.co.kr

Date Published: 7/20/2021

View: 5594

[단독] ‘수소경제 혈관’ 수소 튜브트레일러 올 12월 도입 – 아주경제

정부의 연내 튜브트레일러 보급 목표는 총 16대다. 금액으로는 총 32억원이다. 비용은 수소유통전담기관인 한국가스공사가 50%를 분담하고, 나머지 50%를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ajunews.com

Date Published: 3/1/2022

View: 2697

일진하이솔루스 수소튜브 트레일러 내놨다 | 한경닷컴 – 한국경제

안홍상 일진하이솔루스 대표가 회사가 개발한 ‘타입4’ 수소튜브(왼쪽 아래)와 수소튜브 트레일러 앞에서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일진하이솔루스 제공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hankyung.com

Date Published: 6/4/2021

View: 7671

튜브 트레일러 | 현대수소전기차넥소 설명사용법 – MAXFIT

수소튜브트레일러는 고압·대량의 수소가스를 수소충전소, 산업용 수요처 등에 운송해 수소의 안정적인 수급과 운송에 필수적인 장비로 기존 국내에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you.maxfit.vn

Date Published: 3/20/2021

View: 7242

[단독] 가스공사, 수소 튜브트레일러 16대 도입…일진하이솔루스 …

19일 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 ‘수소 튜브트레일러를 이용한 수소 유통 활성화 사업’ 안건을 의결했다. 수소 튜브트레일러는 수소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theguru.co.kr

Date Published: 12/29/2021

View: 2959

고압가스 – 고압용기 – (주)엔케이텍 사업분야

고객의 요구에 맞춰 고품질의 고압가스용기(튜브트레일러) 제조 … NK proves various industrial Gas Tube Trailers such as He(Helium), H2(Hydrogen), Ne(Neon),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nktech.co.kr

Date Published: 10/2/2021

View: 944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수소 튜브 트레일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수소 튜브 트레일러

  • Author: 국토교통부
  • Views: 조회수 21,880회
  • Likes: 좋아요 337개
  • Date Published: 2021. 10. 2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t9YSiVZt9A

[기획] 국내 수소튜브트레일러 산업 현황&전망

수소 공급가 절감, 운송기술로 ‘실현’

타입4 튜브트레일러 기술 도입

고압 탄소복합재 용기 실증

일진하이솔루스의 타입4 수소튜브트레일러.

[투데이에너지 유정근 기자] 수소경제가 본격화되고 수소충전소 구축이 증가하면서 수소 소비자 구입가를 감소시키기 위해 생산·저장기술뿐만 아니라 운송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수소튜브트레일러는 고압·대량의 수소가스를 수소충전소, 산업용 수요처 등에 운송해 수소의 안정적인 수급과 운송에 필수적인 장비로 기존 국내에는 금속으로 제작된 용기인 타입1 수소튜브트레일 러를 통해 수소가 운반됐다. 타입1 수소튜브트레일러의 1회 운송량은 약 300kg으로 1회 운송량이 많지 않다는 단점과 운송 후 수소차에 충전하기까지 2번의 압축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수소튜브트레일러시장에 지난해 일진하이솔루스가 타입4 수소튜브트레일러를 시장에 선보이며 기존 타입1 수소튜브 트레일러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보였다. 또한 지난해 9월 또다른 수소저장용기 제조업체인 엔케이에테르는 555bar 수소저장용기가 KGS 인증을 취득하고 출시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액화수소튜브트레일러사업에 여러 기업이 뛰어들고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 시장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수소튜브트레일러 산업 현황

기존 국내에서는 고압용기 전문기업 엔케이가 200bar 기준의 타입1 수소튜브트레일러를 제작·공급해왔었다. 타입1 수소튜브트레일러의 1회 수소 운송량은 약 300kg 수준이다.

지난 2020년 5월 엔케이에서 대형 용기관련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며 엔케이에테르가 설립돼 운송용 튜브트레일러, 저장용기 등의 생산에 나서는 등 사업이 전문화됐다. 이외에도 비트코 비체실린더즈코리아, 일진하이솔루스(전 일진복합소재) 등이 수소튜브트레일러 시장에 참여해 경쟁 및 기술개발이 확대됐다.

엔케이에테르는 지난해 9월 수소모빌리티+ 쇼에 참가해 한국가스안전공사(KGS)의 제조승인 절차를 완료한 550bar 수소저장용 1,000리터 압력용기를 선보였다.

또한 엔케이에테르는 미국기계학회에서 인증을 취득한 990bar 고압 압력용기를 올해 상반기 중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1,000bar 이상의 고압용기 기술개발을 추진하며 튜브트레일러용기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비트코비체실린더즈의 초경량 빌렛타입 저장용기.

■초경량 빌렛타입 저장용기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는 지난 수소모빌리티+쇼에서 기술 컴팩트 타입의 집합형 실린더 수소 운송 솔루션을 공개했다.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의 모기업인 체코의 비트코비체실린더즈는 1988년 빌렛타입의 200bar급 설비를 구축한 후 정밀한 기술력을 통해 초경량 빌렛타입을 구현했다.

컴팩트타입 집합형 실린더 수소 운송은 1번에 여닫는 작업이 가능한 이음새 없는 빌렛용을 이용해 밀페 차단형 구조로 운송하는 방식으로 충전소 설계 면적 축소, 유지비 절감, 내구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비트코비체실린더즈는 그룹 계열사를 통한 원재료 수급으로 균질의 품질, 제품 안정성을 확보했다.

비트코비체실린더즈 운송용 솔루션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튜브트레일러의 절반 크기로 같은수준의 수소운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특히 밀폐구조의 철재 컨테이너로 운송돼 구조적 안전성과 뛰어난 주행안정성이 확보됐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량의 수소를 운송하는 과정 에서 번들의 다수 용기에 분산시켜 저장하고 운송함으로써 대형사고의 위험을 분산시킬뿐만 아니라 현장에 서의 긴급처리가 가능하다.

도심에 건설되는 수소충전소의 경우 대형 수소튜브 트레일러의 도심진입에 따라 주민들의 수용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이런 상황에서 필요공간을 절반 정도로 줄인 비트코비체실린더즈의 빌렛타입형 저장용기는 획기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국내 최초 타입4 수소튜브트레일러

지난해 8월 일진하이솔루스는 국내 최초로 타입4 수소튜브트레일러를 선보이고 한국가스안전공사와 국제표준화기구로부터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두 기의 인증에 따라 일진하이솔루스는 국내 및 해외 수소튜브트레일러시장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또한 일진하이솔루스가 선보인 타입4 수소튜브트레일러는 수소 운송 차량의 총 중량을 26톤으로 낮추고 전장도 10m로 줄이는 등 경제성을 추가로 확보했다.

일진하이솔루스는 일진그룹이 지난 1999년 설립된 한국복합재료연구소를 2011년 인수한 후 관련 기술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타입4 수소저장용기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일진하이솔루스와 일본의 토요타 두 회사뿐으로 국내에서 일진하이솔루스의 타입4 수소튜브트레일러 기술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간 수소경제의 걸림돌 중 하나는 수소 생산·저장· 운송·충전에서 안전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으로 타입4 수소튜브트레일러는 수소 운송 저장 압력 450bar 1기당 1회 수소 공급량 약 500kg 으로 기존 타입1 수소튜브트레일러대비 약 1.5배 이상의 1회 운송량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2020년 이후 세워진 수소충전소의 하루 평균 수소 공급량인 500kg를 1 회에 공급할 수 있어 수소튜브트레일러의 투입 댓수와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국내외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200bar, 340kg 용량의 금속재 수소이송용기를 장착한 튜브트레일러는 운송 용량면에서 한계가 있는 실정으로 미국, 독일 등에서는 금속소재를 탄소소재로 대체한 수소압력 500bar, 용량 530리터급 튜브트레일러를 상용화하고 700bar 튜브트레일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압축수소 운송용 복합재료 용기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에서 탄소복합재 수소용기의 기준을 450bar, 450리터 이하로 정하고 있어 고압 대용량의 탄소복합재 수소튜브트레일러를 제작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고압 대용량 탄소복합재 수소운송시스템 실증 추진 일정.

이에 지난해 10월29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전라북도는 국내 기준을 초과하는 고압 탄소복합재 수소이송 용기 실증 착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는 국산 탄소섬유로 만든 525기압, 520리터 수소 운송용 탄소복합재 수소용기를 장착한 수소튜브트레일러를 상용화하기 위한 제조 및 운행 실증으로 오는 3월까지 시험과 평가를 마치고 9월까지 운행 안정성을 실증할 예정이다.

고압·대용량 수소이송용기 실증은 국내 기준을 초과한 고압의 수소용기를 제조해 안전성과 성능을 시험하는 것으로 전북도는 현장점검·안전교육 실시 등을 통해 실증 전과정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수소이송용기 안전성 실증이 완료돼 탄소복합재 525bar 수소튜브트레일러가 상용화될 시 현재 시중에 운영 중인 금속재 200bar 수소튜브트레일러대비 약 2.5배 정도 많은 수소를 운반할 수 있어 향후 수소 운송 및 활용 등 수소산업 전반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통기획] 새정부의 에너지정책 수소경제는 계속 된다진화하는 수소운송·저장용 고압용기타입Ⅰ용기는 ‘안전성’, 타입Ⅳ 용기는 ‘ 경량성’ 부각

[가스신문 = 한상열 기자] 탄소중립 2050과 함께 신호탄을 쏘아 올린 문재인 정부의 수소경제가 새 정부에서도 강력한 드라이브를 가할 것인지 국내 수소모빌리티업계에서의 관심이 크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난해 12월 대전·당진고속도로에서 수소튜브트레일러에서 화재가 발생, 수소경제의 갈 길에 적지 않은 우려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이 사고는 제동장치의 이상으로 인해 타이어에서 불이 난 것으로 확인됐으며, 수소운송용 트레일러에 적재한 초대형 고압용기의 안전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 용기의 폭발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야말로 타입Ⅰ 고압용기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에는 수소 운송 및 저장용 타입Ⅳ 용기가 잇따라 출시되면서 운송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등 한층 업그레이드된 수소운송시스템이 선보이고 있다. 특히 충북 충주시에 들어선 바이오그린수소융복합충전소에 45㎫의 초고압 충전설비가 들어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타입Ⅳ 용기의 보급 확대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지는 문재인 정부가 대표적인 친환경 정책으로 삼아 추진해오던 수소경제를 지속시켜야 한다는 측면에서 ‘새 정부의 에너지정책, 수소경제는 계속된다’는 주제로 기획기사를 마련, 분야별로 보도하고자 한다.

이 가운데 수소 운송 및 저장용 고압용기의 안전성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수소용기제조업체들의 수소용기 생산 및 개발현황과 향후 계획 등에 대해 알아본다.

수소충전소에 수소저장용 용기가 오른쪽에 설치돼 있다.

[수소용기 시장현황과 전망 ]

타입Ⅰ·타입Ⅳ용기 각각의 특성 따라 운송·저장 등 특화된 영역 구축할 듯

타입Ⅰ 엔케이에테르 이어, 비트코비체실린더즈K 가세

동서디앤씨 타입Ⅳ 국산화, 일진하이솔루스도 도전장

우리나라의 수소 운송 및 저장용 용기시장은 국내에서 타입Ⅰ를 제조하는 엔케이에테르와 체코에서 들여온 타입Ⅰ 용기를 패키지로 구성, 판매하는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가 가세하고 있다.

또 타입Ⅳ 용기시장에는 동서DNC에 이어 일진하이솔루스가 나서 타입Ⅰ 용기업체를 대상으로 도전장을 낸 상황이다.

이 가운데 엔케이에테르의 경우 국내 수소운송용 용기를 튜브트레일러나 스키드로 구성, 출시하는가 하면 지난해 개발한 수소저장용 55㎫ 중압용기를 최근에 총 15개 충전소를 대상으로 납품하는 등 초대형 용기의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초대형 고압용기 시장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엔케이에테르는 수소용기 외에도 반도체산업의 호황에 힘입어 각종 특수가스 운송용 용기의 수주잔량도 많이 쌓여 있는 등 높은 실적을 올리고 있다.

엔케이에테르는 지난해 말 발생한 튜브트레일러 화재사고와 관련해 제동장치의 불량에 따라 용기에 불이 번졌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장치가 정상 작동함으로써 용기의 안전성을 검증받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활발한 수출로 전 세계적으로 보급된 엔케이에테르의 용기는 그동안 수소(H₂)용은 물론이고 압축천연가스(CNG) 용기도 많았는데 사고가 나더라도 안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면서 용기파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차량 일체형 튜브트레일러타입과 분리형 컨테이너 스키드 타입으로 생산하는 엔케이에테르는 최근 99㎫의 초고압 저장용기의 국산화에 나서고 있으며, 글로벌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사명변경을 준비하고 있다.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는 체코의 비트코비체실린더즈社가 제조한 타입Ⅰ 용기를 들여와 국내에서 직접 하우징 및 트레일러, 튜빙, 피팅, 밸브 등을 구성해 튜브트레일러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특히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가 내놓은 집합형 실린더운송 솔루션은 기존의 대형 튜브트레일러와 달리 컴팩트한 운송 타입으로 수소 등의 운송에 있어서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수소충전소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는 또 소용량 번들타입의 용기를 적용함으로써 최소의 설계 면적에서도 수소공급이 가능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며, 최근에는 오창 수소열차충전소와 군산 수소충전소에 이 같은 수소저장솔루션을 제공, 호평받았다.

타입Ⅳ 용기를 국산화하면서 국내 수소용기시장에서 반향을 일으켰던 동서DNC는 45㎫ 압력으로 수소를 충전해 한꺼번에 1000kg까지 운송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동서DNC는 타입Ⅳ 수소용기에 대해 복합재료의 단열성을 기본으로 보유하고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타입Ⅰ 수소용기에 비해 1/60 수준으로 수소용기에 열전달됨으로써 수소용기 내의 급격한 압력 상승이 없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수소자동차인 넥쏘와 상용자동차인 엑시언트 차량용 수소용기를 현대자동차에 공급하고 있는 일진하이솔루스도 지난해 튜브트레일러에 적재할 수 있는 내용적 424ℓ 규모의 타입Ⅳ 용기를 내놓아 수소자동차충전업계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일진하이솔루스가 공개한 용기는 타입Ⅰ 용기에 비해 무게는 3.3배 가벼울 뿐만 아니라 사용압력이 45㎫로, 자동차용 수소의 운송뿐만 아니라 산업용 수소도 운송할 경우 산업용 수소충전업계에서 큰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이처럼 수소 운송 및 저장용 초대형 용기 가운데 타입Ⅰ은 탁월한 안전성을, 타입Ⅳ는 경량성 등을 홍보하면서 운송용과 저장용 등 각각의 영역을 구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타입Ⅳ 용기의 재검사 기한, 내구연한 등이 어느 정도 선에서 정해질지가 관건이다. 이러한 것을 극복할 수 있을 때 향후 타입Ⅳ의 용도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타입Ⅰ과의 한판승부도 기대된다.

엔케이에테르

수입 의존하는 99㎫ 용기 국산화 박차

수소 운송용으로 선보인 엔케이에테르 튜브트레일러.

프랑스 하이볼루션 통해 유럽수소시장 진출 계획

엔케이에테르(대표 위호선)가 납품한 수소튜브트레일러의 경우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차량의 제동장치 이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으나 용기는 한 번도 폭발하지 않는 등 안전성이 입증됐다.

특히 도로 사정이 열악한 남미에서는 운전자 부주의에 의한 절벽 추락사고도 있었는데 이 회사의 제품에 설치한 안전장치의 정상 작동 및 제품의 안전성으로 큰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

이 회사의 타입Ⅰ 용기는 전체가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원재료 특성상 알루미늄·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다른 타입의 압력용기 대비 월등한 재료로 강성과 내화성능을 보유해 외부로부터의 예상치 못한 충격과 화재 등 각종 돌발상황에 대한 원천적인 안전성을 확보했다.

또한 이 회사의 튜브트레일러는 압력용기에 대해 수압검사와 초음파검사를 통한 무결점을 검증하고, 제작 완료된 트레일러 전체에 대해서도 고압으로 누출검사를 해 다시 한번 안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지난 12월 발생한 화재에서 정상 작동한 안전장치도 모든 개별 용기마다 장착해 제품 내부로부터의 수소누출 위험성을 원천 차단하고 화재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이상 상황에 대한 안전성 역시 확보한 셈이다.

수소충전소용 55㎫ 중압용기는 지난해 가스안전공사 최종승인을 취득한 이후 올해 3월까지 15개 충전소에 납품했다. 현재 국내에서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업체로부터 이미 납품 수량 대비 두 배 분량의 추가 수주를 받았다. 또한 호주 메이저 수소업체로부터 55㎫ 수소저장시스템을 수주, 해외로의 수출 역시 성공적으로 이어졌다.

중압용기와 더불어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99㎫ 고압저장용기의 국산화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올해 3분기 내로 각 승인기관에서 요구하는 모든 품질테스트와 관련 승인절차를 완료할 예정이다.

이밖에 이차전지 배터리용 실리콘 음극재 국내 생산계획에 따른 초고순도 실란(SiH₄) 튜브트레일러의 수요가 증가하고 국내 주요 반도체회사들의 신규 공장 가동에 따라 삼불화질소, 실란, 암모니아, 아산화질소 등 특수가스용 튜브트레일러 및 440ℓ Y톤실린더 신규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사용압력이 20㎫인 기존 타입Ⅰ 튜브트레일러의 운송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30㎫ 이상의 제품도 연내에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대용량 수소저장용기에 대한 호주 현지 승인 취득과 납품을 완료하는 등 호주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올해 5월 프랑스 하이볼루션 전시회 참가를 통해 본격적인 유럽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다.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

소용량 번들타입으로 내구성 우수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가 내놓은 컴팩트한 운송 타입의 수소용기.

연내 대용량 운송 가능한 콤팩트 타입 용기도 공개

비트코비체실린더즈코리아(대표 소경빈)는 모든 수소저장용기에 KGS 코드 등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충족시키는 안전장치를 부착,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소운송용 저장설비에 부착해야 하는 안전밸브도 KGS 코드에 따라 부착하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회사의 수소운송용 저장장치(MEGC)는 소용량 번들타입의 운반체로 기존의 대용량의 수소저장용기에 부착된 안전밸브가 고압의 유량·유속을 1개의 밸브로 처리하게 돼 있어 피로한계에 쉽게 다다를 수 있으나 다중의 밸브로 각각 분산 처리할 수 있어 내구성과 안전도 면에서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회사의 소용량 번들형 수소운송시스템은 내구성과 안전성 외에도 기존 대용량 점보 타입의 튜브트레일러에 비해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어 주행의 안전성과 절반의 회전반경 등으로 수소충전소 내에서 운행 등의 편리성이 강점이다.

더욱이 컴팩트한 20피트 규격 및 밀폐형 컨테이너로 인해 충전소의 편리한 주행 동선으로 주민의 수용성이 매우 좋아 불필요한 민원 제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이 회사가 제공하는 수소충전소 저장용 솔루션(Pressure vessel package)은 고압 100㎫, 중압 50㎫, 저압 30㎫ 등의 패키지는 수소충전소 및 수소공급 과정에서 서비스가 필요한 어느 현장에서든 최소의 설계 면적을 가능하게 해 도심지 수소충전소 및 이동형·패키지타입의 충전소에 적용할 수 있어 수소충전사업자들로부터 호평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오창 수소열차충전소 및 군산수소충전소에 수소저장솔루션을 납품한 바 있으며 패키지타입의 수소충전소, 이동형 수소충전소와 같이 협소한 부지의 도심형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자들과 활발히 상담하고 있다.

또한 점증하는 하루 수소 소요량에 따라 증설할 필요가 있는 충전소의 리뉴얼 공사 등에서 필요한 소요량만큼 저장 패키지를 증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 점보 타입의 저장설비를 1회에 구매했던 것과 달리 구매 예산의 효과적인 집행이 가능해졌다.

현재 이 회사의 수소운송용 저장장치의 장점을 바탕으로 도심형 및 협소한 부지의 충전소에 강점을 보이면서 4월에 인천지역 2개 충전소에 투입될 계획이다.

이밖에 25㎫ MEGC 외에도 총중량 30톤 미만의 35㎫ 운송 솔루션을 개발 중으로 빠르면 올 연말 대용량의 수소운송이 가능한 콤팩트 타입의 수소운송용 저장장치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동서DNC

45㎫ 압력으로 수소 1000kg 이상 운송

동서디앤씨가 개발한 타입Ⅳ 용기.

타입Ⅳ 내구연한 15~20년, 타입Ⅰ과 동일 적용 필요

동서DNC(대표 허진영)가 내놓은 타입Ⅳ 수소용기의 가장 큰 특징은 중량과 크기의 제한을 받지 않는 용기설계 및 생산이다. 이 회사는 현재 국내의 운송용 트레일러의 KGS 규격이 내용적 450ℓ 규모에 45㎫의 고압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설계, 개발하고 있으나 ISO 규격에는 중량이 가벼워 타입Ⅳ 수소용기 1개 용량을 3000~1만ℓ까지의 규격을 적용하고 있다.

수소용기의 1개당 용량을 크게 할 경우 생산가격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미 대용량의 타입Ⅳ 수소용기 설계기술 확보와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타입Ⅳ 용기의 또 다른 강점은 경량성 이외에 화재 시의 탁월한 안전성이다. 타입Ⅰ 경우는 용기 전제가 금속재료 제품이기 때문에 금속재료 특성상 매우 빠른 열전달로 인해 외부에서의 급격한 열원이나 튜브트레일러 내에 화재 발생 시에는 타입Ⅰ 수소용기 금속 표면에 수초 내에 열전달이 됨으로써 타입Ⅰ 수소용기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타입Ⅳ 수소용기의 복합재료는 단열성을 기본으로 보유하고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타입Ⅰ 수소용기에 비하여 1/60 수준으로 수소용기에 열전달이 됨으로써 수소용기 내의 급격한 압력 상승이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러나 타입Ⅳ의 수소용기에는 추가적인 화재 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타입Ⅰ과 같은 수준의 안전장치가 기본적으로 장착된다.

외국의 타입Ⅳ 압력용기의 내구연한은 15~20년이다. KGS 규격을 개정해 기존 타입Ⅰ과 동일 조건으로의 재검사 및 내구연한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올해 3월 기준으로 국내의 타입Ⅳ 대형 수소용기에 대한 시험기관의 검사 및 시험설비 구축 수준은 매우 미흡한 상태다. 그러나 차량용을 할 수 있는 시험기관이 국내에 3곳이 있기 때문에 대형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시험챔버, 가압장치 등의 부분적인 정부 지원이 추가로 있는 경우 대형용기의 시험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타입Ⅳ 대형 수소용기 인증을 위한 시험기관의 시험설비 구축과 운용압력 35~50㎫, 저장용량 3000~1만ℓ급의 수소용기 생산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격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수소운송용 튜브트레일러를 지난해에 개발을 완료하고 KGS, TPED, ASME_Sec-X 인증을 진행하고 있는 타입Ⅳ 대형 용기는 튜브트레일러 40피트 1대에 KGS 코드에 따라 모듈화한 것으로 45㎫의 압력으로 수소 1000kg 이상으로 운송할 수 있다.

튜브트레일러 총 중량은 25톤급이라 국내의 어느 장소에서도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므로 국내에서 아직 어느 회사도 개발하지 못한 수소운송용 튜브트레일러라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일진하이솔루스

튜브트레일러용 타입Ⅳ 424ℓ 용기 양산

일진하이솔루스가 지난해 선보인 타입Ⅳ 용기.

타입Ⅰ보다 3.3배 가벼워, 넥쏘용기 2만4000대 판매

수소차인 넥쏘에 장착하는 타입Ⅳ 소형 용기의 납품을 비롯해 수소버스 및 대형 트럭인 엑시언트에 장착하는 용기를 공급해온 수소차 용기 전문제조업체인 일진하이솔루스(대표 안홍상)는 지난해 수소운송용 초대형 용기도 개발, 선보이면서 큰 관심을 모았다.

이 회사에서 생산하는 가장 큰 양산 용기는 타입Ⅳ으로 튜브트레일러에 적재할 수 있는 내용적 424ℓ 규모의 용기다. 이 용기는 금속이 아니기에 수소 취성에 의한 피로파괴 위험성이 없다. 동일 규격의 타입Ⅰ 용기 대비 무게는 3.3배 가벼울 뿐만 아니라, 타입Ⅳ 튜브트레일러용 용기의 사용압력이 45㎫로, 타입Ⅰ 용기의 20㎫보다 높아 훨씬 많은 양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424ℓ 용기 4개, 배관, 안전장치 등을 포함한 모듈을 카세트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카세트와 카세트를 쉽게 병렬 배열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최적의 양에 맞게 수소저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 용기에 분산, 저장하고 운송함으로써 대형 사고의 위험이 더욱 적다.

이 회사는 현대자동차 넥쏘 수소용기 독점공급사로써 전 세계에서 타입Ⅳ 용기 양산 실적이 가장 많은 업체다. 넥쏘에 장착하는 용기는 2018년 출시 이후 현재까지 약 2만4000여대를 판매했다. 이 같은 풍부한 노하우와 양산 실적을 바탕으로 더욱 많은 수소를, 더욱 가볍고, 저렴한 방법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의 수소운송용 용기는 내용적에 따라 424ℓ, 275ℓ 등 두 가지 제품이 있다. 압력은 45㎫, 직경이 약 550mm의 용기로 현재 국내 튜브트레일러 사용압력 기준인 45㎫, 450ℓ에 맞게 설계됐다.

이 회사가 내놓은 타입Ⅳ 튜브트레일러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수소저장량에 따라 250kg, 500kg, 750kg, 1000kg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개발한 튜브트레일러의 경우 수소저장량 750kg, 차량 길이 13m, 차량 무게 30톤 미만으로써 기존 타입Ⅰ 튜브트레일러 수소저장량 340kg, 차량 길이 16m, 차량 무게 30톤보다 더 많은 수소를 더욱 경량화된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돋보인다.

지난해 발표한 글로벌 자동차 제작사 공급용 차세대 수소차용 연료저장시스템의 경우 계획대로 개발하고 있으며, 유수의 자동차 제작사와 긍정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글로벌 인증을 받아 출시한 타입Ⅳ 튜브트레일러는 1회에 기존 타입Ⅰ보다 3배 이상의 수소를 운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을 통해 수소충전소의 구축과 운영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수소 압력 및 용량에 대한 규제 완화로 운송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고 있는 만큼 국내 고압 튜브트레일러시장 활성화를 위해 튜브트레일러 고압 충전을 위한 45㎫ 압력의 출하시설 구축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수소 튜브트레일러(T/T) 이용 수소 유통 가능

규제 샌드박스, 수소산업 저변 기계·항공까지 확대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수소 튜브트레일러(T/T)를 이용한 수소 유통이 가능해지는 등 수소운송 인프라가 확충돼 보다 저렴하게 수소를 유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무인항공기·건설기계·산업기계에도 수소 충전이 가능해지는 등 수소산업 저변이 기계 항공분야 까지 확대된다.

아울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화학·정제공정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고, 액화수소 저장탱크를 국산기술로 제작해 구축 및 운영하는 것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2022년 제1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이하 ’위원회‘)를 서면으로 열고 ’수소 튜브트레일러(T/T)를 이용한 수소 유통 활성화‘, ’수소항공모빌리티 충전 및 비행시험‘ 등 총 14개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위원회 심의안건은 실증특례 10건, 임시허가 3건, 적극해석 1건 등 총 14건이다.

이에 따르면 ▲수소 튜브트레일러를 이용한 수소 유통 활성화 ▲수소항공모빌리티의 수소충전 및 비행시험 ▲수소 건설기계·산업기계용 수소충전소 구축·운영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원료화 ▲충전소, 플랜트용 액화수소 저장탱크 구축·운영 ▲이동형 전기차충전 서비스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무선업데이트(OTA) ▲중온 아스콘 제조를 위한 건설 신기술 이전 등이다.

이번 승인안건은 탄소중립 7건, 디지털전환 6건, 생활밀착형 1건으로 탄소중립과 디지털전환이 선언적 규범을 넘어 기업의 실제 사업모델로 구현되고 있고, 그 중심에 규제 샌드박스가 있음을 보여준다.

탄소중립의 경우, 자동차뿐만 아니라 항공모빌리티, 건설·산업기계까지 수소충전 인프라를 확대하고, 핵심제품인 액화수소탱크의 안정성 검증을 위한 실증특례가 진행된다.

위원회가 14건의 과제를 신규로 승인함에 따라, 제도 시행 이후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 승인 과제수는 200건을 돌파하였다.

그중 115개 기업은 사업을 개시하여 매출 912억원, 투자 2,677억원을 달성하고 467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한편, 26개 법령은 정비를 완료하여 기업이 특례 없이 정식 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문승욱 장관은 “규제 샌드박스는 기업이 新산업 분야의 혁신제품·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규제기관이 법령개정의 기준으로 삼을 준거자료를 산출하는 정책실험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면서 “올해가 제도시행 4년차를 맞는 만큼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음에도 아직 사업을 개시하지 못한 과제들에 대한 행정지원을 통해 신속한 사업개시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이어 “旣 승인과제들의 실증사업 결과를 토대로 “유사·동일 과제들에 대한 조건완화를 추진하여 기업들의 부담을 경감 하는 한편 관계부처 법령정비 T/F 등을 통해 관계법령의 제·개정을 유도해 규제유예‘에 머무는 사업들이 정식사업화되는 ’규제혁신‘까지 나아가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1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 안건 주요내용】

수소 튜브트레일러를 이용한 수소 유통 활성화 사업

“수소운송 인프라 확충으로 보다 저렴하게 수소 유통”

한국가스공사는 수소 튜브트레일러(T/T)를 이용한 수소 유통 활성화 사업에 대한 실증특례를 신청했다.

신청기관은 수소연료 공동구매사업에 선정된 공급업체에 운송장비 (튜브트레일러)를 저가로 임대 해주는 방식으로 유통비용을 낮춰 충전소에 저렴한 수소를 공급할 계획이다.

수소공공구매사업은 수소법에 따른 유통전담기관인 가스공사에서 전국 충전소의 수요물량을 모아 충전소를 대신해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등 대량 구매대행 지원 서비스다.

이 사업은 96대의 T/T 임대서비스 제공을 시작으로, 향후 충전소의 수소 소비량 등을 고려해 실증규모를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하지만 현행 규제에 따라 T/T는 특수용도형 화물차로 분류되고 있어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상 자가용 T/T 소유자의 임대행위 등이 금지된다.

심의 결과 위원회는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수소공급을 위해 유통 인프라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실증특례를 부여했다.

다만, T/T 유상임대 대상을 수소공동구매 사업에 참여하는 공급업체 등으로 한정한다는 관계부처의 조건을 전제로 승인했다.

이에 따라 공동구매와 운송 인프라 지원을 통한 공급단가 인하는 수소 충전소의 운영여건 개선에 기여하여, 민간투자를 확대하고 수소차 소비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소항공모빌리티의 수소충전 및 비행시험

“수소로 飛上하는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

현대글로비스와 현대자동차는 수소항공모빌리티의 수소충전 및 비행시험에 대한 실증특례를 신청하였다.

신청기업은 수소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전지·탱크를 장착한 연구개발용 수소항공 모빌리티를 제작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현행 고압가스법 시행규칙상 수소충전소는 자동차만 충전할 수 있으며, 수소항공기를 포함한 다른 모빌리티의 충전은 불가능하다.

위원회는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의 실증 필요성에 공감하며, 실증결과를 향후 수소항공기 분야 안전·기술기준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실증특례를 승인하였다.

다만, 가스안전공사 등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하에 실증전반을 검증하는 안전관리체계 구축과 충전시 수소차와 동일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조건으로 실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 사업은 수소항공모빌리티의 가능성과 혁신성 검증의 첫걸음으로, 향후 국내 상용화 기반 마련과 수소산업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 건설·산업기계용 충전소 구축·운영

“수소충전소에서 건설·산업기계까지 충전”

건설기계부품연구원은 수소 건설·산업기계에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소를 구축·운영하기 위해 실증특례를 신청했다.

신청기관은 유휴부지에 수소충전소를 건설하여 국가 R&D·실증사업(산업부, 중기부)을 통해 개발된 수소 건설·산업기계의 충전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한다.

현행 고압가스법 시행규칙상 수소충전소에서 충전 가능한 차량은 ’자동차‘로 한정되어, 새로 개발된 건설기계·산업기계(굴착기, 지게차, 무인운반차 등)에는 충전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위원회는 旣 승인안건과 동일하게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의 상용화를 통한 수소경제 로드맵 이행을 위해 실증특례를 승인하였다.

다만, 실증사업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소자동차와 동등한 수준의 충전안전성 확보, 안전관리계획 상 안전위원회 운영 등 산업부가 제시한 조건을 준수토록 하였다.

실증특례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될 경우, 자동차 外 건설·산업용 기계에 대한 수소충전 인프라가 확대되어 수소경제 활성화와 연관산업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원료화 가능

“폐플라스틱 휘발유,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 재탄생”

현대케미칼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화학·정제공정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실증특례를 신청했다.

신청기업은 중소기업 등으로부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구매한 뒤 이를 원유와 희석하여 석유화학·정제공정에 투입함으로써, 플라스틱 원료(나프타), 연료유(휘발유·경유)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현행 석유사업법상 원유 또는 석유제품(휘발유, 등유 등 탄화수소유) 등 석유류만 정제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정제공정에 투입이 불가능하다.

또한, 폐기물관리법상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석유화학·정제공정의 원료로 사용하는 재활용 유형도 부재한 상황이다.

위원회는 동 사업을 통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활성화된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추가적으로 실증특례를 승인하였다.

다만, 기존 승인안건과 동일하게 최종제품의 검증을 위해 품질검사 등으로 안전성을 확보하는 조건을 부가하였다.

이에 따라 버려지는 폐플라스틱을 유용하게 재활용할 수 있어, 최근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전소, 플랜트용 액화수소 저장탱크 구축 및 운영

“액화수소 저장탱크, 국산기술로 만든다!”

두산메카텍은 액화수소 저장탱크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실증특례를 신청하였다.

신청기업은 액화수소 저장탱크 설계·제작 全과정의 기술·안전성을 검증하여 국내 충전소와 플랜트에 공급할 제품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액화수소 저장탱크는 영하 253도 이하의 극저온으로 보관되어야 하는 액화수소 특성상, 저장탱크를 외벽과 내벽으로 나누고, 사이를 진공 단열해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현행 고압가스법상 액화수소 저장용기 안전기준이 부재하여, 해당 제품의 판매 또는 사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해외에서 액화수소 저장설비는 이미 상용화되었지만, 관련 기준 부재*로 국내에서 구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위원회는 기체수소 대비 안전성이 높고 효율적 운송이 가능한 액화수소의 저장용기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실증특례를 승인하였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 대비 대기압 수준의 저압으로 저장·운송되므로 폭발 위험성이 낮으며, 적은 부피에 많은 수소를 저장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旣 승인된 유사안건과 마찬가지로 가스안전공사의 권고기준을 반영한 자체 안전성 평가기준 준수, 안전관리체계 구축 등 안전조치 사항을 전제로 조건부 승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실증을 통해 국산 액화수소 저장설비가 구축되면, 본격적인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형 전기차충전 서비스

“어디든 달려가는 전기차충전 서비스!”

이테스는 1톤 트럭에 전기저장장치와 전기차충전기를 설치하여, 고객을 찾아가는 전기차 충전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증특례를 신청했다.

현행 이동형 전기저장장치(배터리) 및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안전검사 기준과 규격이 부재하다고, 고정형에 대한 기준만 존재한다.

또한, 이동형 전기차충전기 등의 안전확인 기준 등의 부재로 전기차 충전사업등록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위원회는 급속히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을 고려, 다양한 상황에서의 충전원 확보를 위해 동 실증특례를 승인하였다.

다만, 전기저장장치용 전지의 옥내사용을 금지하고, 관련 규정에 따른 안전기준 등을 준수하며, ‘충전기파트’는 국표원의 예비 안전기준에 따라 충전기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도록 했다.

이 서비스는 장소제한 없이 충전을 제공하여 전기차 충전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무선업데이트

“정비소 방문없이 원하는 장소·시간에 업데이트”

㈜기아는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무선 업데이트 서비스(OTA)에 대한 임시허가를 신청하였다.

신청기업은 운전자가 정비소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업데이트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행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상 전자제어장치 무선 업데이트는 점검·정비 작업에 해당하여, 등록된 정비사업장에서만 할 수 있다.

위원회는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장소에서 편리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旣 승인된 안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임시허가를 승인하였다.

국토부는 정비소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무선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임시허가 기간 내에 자동차 관리법 시행규칙 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다.

자동차 제조사는 간편·신속하게 다수의 차량을 동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정비소를 방문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비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온(中溫) 아스콘 제조 건설 신기술 이전

“新기술 이전…탄소 多배출 업종 친환경 전환 선도”

SK에너지는 국토부로부터 인증받은 신기술을 아스콘 회사에 이전하여 중온 아스콘을 생산·공급하고자 특례를 신청했다.

현행 건설기술진흥법은 신기술이전대상기업을 ‘건설사업자’로 한정하여 아스콘 회사에 해당 기술을 이전가능한지 여부가 불확실하다.

국토부는 아스콘회사가 임대차계약(또는 이에 준하는 계약)을 체결한 건설사업자와 사용협약을 하는 경우, SK에너지가 개발한 신기술을 이용하여 아스콘 제조가 가능하다고 법령을 해석했다.

이에 따라 낮은 온도에서 아스콘을 제조하므로 아스팔트 및 골재 가열에 소모되는 연료를 기존 대비 약 35% 저감할 수 있어 탄소중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 ‘수소경제 혈관’ 수소 튜브트레일러 올 12월 도입

10월 8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수소모빌리티+쇼’에서 이동형 수소충전소가 전시되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올 연말부터 수소경제 관련 운송과 생산 인프라를 보강한다.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미흡하다고 지적받은 인프라 구축에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수소공급에 필요한 운송장비 튜브트레일러를 올해 12월까지 16대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앞서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지원하는 수소 튜브트레일러 미공급으로 수소 운송에 차질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자 정부는 가스유통업체에서 보유한 600여대 튜브트레일러를 활용해 우선 수소 생산지에서 수요지까지 운송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수소경제는 아직 초기 단계로, 수소충전소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연료구입비가 운영 적자의 가장 큰 요인이다. 구입비 중 운송비 비중이 30~40%를 차지할 정도로 크다. 이에 정부는 운송비 절감이 가능한 튜브트레일러를 지원해 유통 단계 운송비와 연료구입비 절감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튜브트레일러는 대당 2억원에 달할 만큼 고가여서 정부 지원이 절실한 제품이다.정부의 연내 튜브트레일러 보급 목표는 총 16대다. 금액으로는 총 32억원이다. 비용은 수소유통전담기관인 한국가스공사가 50%를 분담하고, 나머지 50%를 정부가 국고로 보조하는 방식이다.정부 지원 튜브트레일러 보급이 다소 늦어진 배경은 두 가지다. 우선 비용 집행 과정에서 가스공사의 내부 투자심의와 이사회에서 시간이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튜브트레일러 제작 기간도 4개월 정도 걸려 계약이 성사된 지난 9월 기준으로 1~2개월 내 완성은 어려웠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정부는 내년도 수소경제 확대 움직임을 고려해 튜브트레일러 보급을 80대 추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한 내년도 정부 예산안은 이미 편성이 완료됐다. 현재 국회 심의만 남겨둔 상태다.여기에 정부와 가스공사는 수소 공동구매를 추진하며 최대한 낮은 가격의 수소를 공급하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다.산업부 관계자는 수소 생산기지 사업도 순조롭다고 설명했다. 2019년부터 사업을 착수해 2023년까지 수소생산기지 10곳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는 경남 창원에 소규모 생산기지 1기를 운영 중이다.올해 말에는 강원 삼척과 경기 평택(소형)에 1기씩을 준공하고, 내년에는 전국 각지에 6곳을 더 늘린다는 방침이다. 2023년 6월께 평택에 대형 수소생산기지를 완공하면 총 10곳이 운영된다.산업부 관계자는 “튜브트레일러 지원으로 유통 비용이 줄면 수소충전 사업자 운영비가 절감돼 수소차 이용자에게도 혜택이 갈 것”이라며 “올해 16대를 시작으로 튜브트레일러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일진하이솔루스 ‘수소튜브 트레일러’ 내놨다

우리는 성장기업

‘타입4 수소튜브’ 40기 저장

수소차 240대 충전 가능해

현대차 넥쏘 수소튜브 독점 공급

선박·드론·트럭 등 수소튜브 개발

안홍상 대표 “8월 기업공개”

안홍상 일진하이솔루스 대표가 회사가 개발한 ‘타입4’ 수소튜브(왼쪽 아래)와 수소튜브 트레일러 앞에서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일진하이솔루스 제공

넥소 수소차 수소탱크 독점

“8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목표”

전북 완주산업단지 내 일진하이솔루스 공장. 지난 8일 찾은 이곳에 국내 최초의 ‘타입4(4세대)’ 수소튜브 트레일러가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탄소섬유로 만든 수소튜브 40기(용량 500㎏)를 실을 수 있는 컨테이너 형태의 특수 장비다. 이 트레일러에 실린 수소튜브로 수소차 240대를 충전할 수 있다. 수소튜브 트레일러를 수소충전소 내 수소 압축 장치와 연결해 그대로 쓸 수도 있다.안홍상 일진하이솔루스 대표는 “이번에 트레일러를 개발하면서 타입4 수소튜브도 기존 제품보다 용량이 큰 맞춤형으로 제작했다”며 “타사의 트레일러 저장탱크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어 충전소 입장에서 저장 효율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일진하이솔루스는 국내 유일의 수소튜브 양산 업체다. 수소튜브 가운데 가장 진화한 형태인 타입4 수소튜브를 제작한다. 이전에 사용된 타입3 수소튜브는 알루미늄으로 용기를 제작하고 바깥을 탄소섬유로 감았다. 반면 타입4는 복합소재 플라스틱으로 용기에 탄소섬유를 감아 더 가볍고 견고하다.일진하이솔루스는 수소차에 싣고 다니는 차량 장착용 수소튜브를 주로 만들다 이번에 트레일러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소튜브를 신규 출시했다. 높은 수소 저장 효율은 물론 튜브 무게도 기존 수소 저장탱크보다 11%가량 가벼워졌고, 안전성까지 ‘3박자’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안 대표는 “불 속에 수소튜브를 던져 1시간을 견뎌야 자체 인증을 통과할 만큼 화재 안전성에 신경 쓰고 있다”며 “6만 개의 수소튜브를 생산했지만 한 건의 고객 불만도 받지 않았다”고 했다. 트레일러 길이(전장)도 기존 금속제 제품보다 6m 정도 짧게 해 운송 편의성을 높였다.일진하이솔루스는 글로벌 수소 충전 인프라 확대에 따라 튜브 트레일러 시장도 꾸준히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작년부터 개발에 착수했다. 안 대표는 “글로벌 수소 트레일러 시장 규모가 현재 3억달러에서 2025년께 1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충전소의 비싼 운영비 등 수소 인프라 걸림돌을 해결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수소전기차에 들어가는 수소튜브 사업도 순항 중이다. 2018년부터 현대자동차의 수소차인 ‘넥쏘’에 수소튜브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넥쏘 수소전기차 한 대에는 수소튜브 3개가 들어간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수소차 연 13만 대 생산을 목표로 26억달러 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안 대표는 선박, 드론, 트럭 등 다양한 운송 수단용 수소 연료탱크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달 초 삼성중공업과 수소 선박 공동 개발에 관한 업무협약도 맺었다. 안 대표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의 환경 규제를 질소산화물에서 이산화탄소까지 확대하고 있다”며 “이 같은 추세 속에서 친환경 수소연료 선박이 갈수록 주목받을 것”이라고 했다.상용차 분야에선 유럽 엔지니어링 업체와 손잡고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이다. 지난달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영업사무소도 열었다. 사업 확장을 위해 다음달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9일 금융감독원에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일진하이솔루스는 1999년 설립된 한국복합재료연구소가 모태다. 2011년 수소탱크 시장의 성장성을 내다본 일진그룹이 인수한 뒤 관련 사업을 확대해왔다. 안 대표는 맥킨지 및 올리버와이먼, 현대모비스(유럽 법인장) 등에서 일했던 전문 경영 컨설턴트 출신이다. 올초 일진그룹에서 전문 경영인으로 영입했다.완주=김동현 기자 [email protected]

튜브 트레일러 | 현대수소전기차넥소 설명사용법: 수소충전소 트레일러 교체(수소가스통) 상위 28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튜브 트레일러 – 현대수소전기차넥소 설명사용법: 수소충전소 트레일러 교체(수소가스통)“?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한쌤기석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10회 및 좋아요 1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수소튜브트레일러는 고압·대량의 수소가스를 수소충전소, 산업용 수요처 등에 운송해 수소의 안정적인 수급과 운송에 필수적인 장비로 기존 국내에는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todayenergy.kr

Date Published: 1/22/2022

View: 334

Air Products는 고객 현장에 보관할 수있는 대량의 고압 가스를 튜브 트레일러로 공급합니다. 이 저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고압 강철 용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airproducts.co.kr

Date Published: 4/19/2021

View: 2251

정부의 연내 튜브트레일러 보급 목표는 총 16대다. 금액으로는 총 32억원이다. 비용은 수소유통전담기관인 한국가스공사가 50%를 분담하고, 나머지 50%를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ajunews.com

Date Published: 5/19/2021

View: 2840

탄소섬유로 만든 수소튜브 40기(용량 500㎏)를 실을 수 있는 컨테이너 형태의 특수 장비다. 이 트레일러에 실린 수소튜브로 수소차 240대를 충전할 수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hankyung.com

Date Published: 1/5/2021

View: 4518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수소 튜브트레일러(T/T)를 이용한 수소 유통이 가능해지는 등 수소운송 인프라가 확충돼 보다 저렴하게 수소를 유통할 수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energydaily.co.kr

Date Published: 8/12/2021

View: 9641

고객의 요구에 맞춰 고품질의 고압가스용기(튜브트레일러) 제조. 고압용기 제조공정소개. ENK 홈페이지 바로가기. 고압용기 사양. Industrial Gas Jumbo Tube Trailer.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nktech.co.kr

Date Published: 9/29/2021

View: 3114

[가스신문=박귀철 기자] 수소저장용기 전문제조업체인 일진하이솔루스(대표 안홍상)가 국내 최초로 타입4의 수소튜브트레일러를 독자적으로 제작,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gasnews.com

Date Published: 3/12/2021

View: 4876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현대수소전기차넥소 설명사용법: 수소충전소 트레일러 교체(수소가스통).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고객의 요구에 맞춰 고품질의 고압가스용기(튜브트레일러) 제조

고압용기 제조공정소개

고압용기 사양

Industrial Gas Jumbo Tube Trailer – With same construction of ISO containerized skid, NK provides various industrial Gas Tube Trailers such as He(Helium), H 2 (Hydrogen), Ne(Neon), N 2 (Nitrogen), O 2 (Oxygen), Ar(Argon) including CNG etc.

– KGS / DOT 3AAX / ISO 11120 / SELO – With same construction of ISO containerized skid, NK provides various industrial Gas Tube Trailers such as He(Helium), H(Hydrogen), Ne(Neon), N(Nitrogen), O(Oxygen), Ar(Argon) including CNG etc.- KGS / DOT 3AAX / ISO 11120 / SELO

고압용기 사양 표 Skid Length Item Tube Q’ty & Length Working Pressure Total Water Capacity (bar) (liter) 20′ TT08-1045 8 / 17′-6” 200 8,360 20′ TT12-1045 12 / 17′-6” 200 12,540 32′ TT11-1690 11 / 27′-0” 200 18,590 32′ TT10-1795 10 / 29′-0” 200 17,950 40′ TT08-2250 8 / 36′-0” 200 18,000 40′ TT08-2285 8 / 35′-10” 200 18,280 40′ TT09-2285 9 / 35′-10” 200 20,565 40′ TT10-2285 10 / 35′-10” 200 22,850 40′ TT08-2290 8 / 36′-0” 200 18,320 40′ TT09-2290 9 / 36′-0” 200 20,610 40′ TT10-2290 10 / 36′-0” 200 22,900 40′ TT10-2260 10 / 35′-0” 200 22,600 40′ TT08-2240 8 / 35′-8.8” 250 17,920

IIMDG MEGC (Multiple Element Gas Container) – This is specially designed for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as in both ocean and land area.

– NK has type approval of global inspection classes for MEGC and provide MEGC with certificate in compliance CSC, TIP, UIC, ADR, RID, IMDG, TPED, SELO, KGS, DOT, ISO, AAR, KHK – This is specially designed for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as in both ocean and land area.- NK has type approval of global inspection classes for MEGC and provide MEGC with certificate in compliance CSC, TIP, UIC, ADR, RID, IMDG, TPED, SELO, KGS, DOT, ISO, AAR, KHK

[단독] 가스공사, 수소 튜브트레일러 16대 도입…일진하이솔루스 ‘호재’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연내 수소 튜브트레일러 16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수소 튜브트레일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하는 일진하이솔루스의 수주가 기대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 ‘수소 튜브트레일러를 이용한 수소 유통 활성화 사업’ 안건을 의결했다. 수소 튜브트레일러는 수소를 생산지에서 압축 저장 후 수소 충전소로 운송 공급하는 장비다. 가스공사는 올해 16대를 구매할 계획이다.

가스공사는 경쟁 입찰을 통해 수소 충전소에 공급할 수소를 공동 구매하며 단가를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상반기 수소 충전소 12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했고 하반기 60개소로 확대해 2단계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2단계 사업의 일환으로 수소 튜브트레일러 구매에 나선 것이다.

가스공사가 발주를 내며 일진하이솔루스가 공급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일진하이솔루스는 국내 최초로 타입4 튜브트레일러를 출시한 업체다. 타입1의 튜브트레일러가 대당 300㎏의 수소를 공급한다면 일진하이솔루스가 양산하는 타입4는 500㎏까지 한 번에 운송할 수 있다. 타입1 대비 무게는 14t 가벼운 26t, 차량 전장은 6m 짧은 10m로 전국 어디라도 운송 가능하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50년 수소 시장 규모를 12조 달러로 전망했다. 수소 시장이 성장하며 튜브트레일러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국제수소스테이션은 글로벌 튜브트레일러 시장 규모가 지난해 2억8500만 달러(약 3340억원)에서 2025년 10억 달러(약 1조1740억원)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가스공사는 2019년 4월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세운 후 후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김해 수소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본사가 위치한 대구 혁신도시에 충전소를 준공할 계획이다. 한국도로공사와 고속도로 휴게소 3곳에 복합 충전소도 설치하기로 했다.

생산 인프라 확충에도 적극적이다. 창원시와 광주광역시에 거점형 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해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정부 목표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수소를 공급한다는 포부다. 이처럼 수소 인프라 전반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서 튜브트레일러 구매에 나선 것이다.

(주)엔케이텍 사업분야

고객의 요구에 맞춰 고품질의 고압가스용기(튜브트레일러) 제조

고압용기 제조공정소개

고압용기 사양

Industrial Gas Jumbo Tube Trailer – With same construction of ISO containerized skid, NK provides various industrial Gas Tube Trailers such as He(Helium), H 2 (Hydrogen), Ne(Neon), N 2 (Nitrogen), O 2 (Oxygen), Ar(Argon) including CNG etc.

– KGS / DOT 3AAX / ISO 11120 / SELO – With same construction of ISO containerized skid, NK provides various industrial Gas Tube Trailers such as He(Helium), H(Hydrogen), Ne(Neon), N(Nitrogen), O(Oxygen), Ar(Argon) including CNG etc.- KGS / DOT 3AAX / ISO 11120 / SELO

고압용기 사양 표 Skid Length Item Tube Q’ty & Length Working Pressure Total Water Capacity (bar) (liter) 20′ TT08-1045 8 / 17′-6” 200 8,360 20′ TT12-1045 12 / 17′-6” 200 12,540 32′ TT11-1690 11 / 27′-0” 200 18,590 32′ TT10-1795 10 / 29′-0” 200 17,950 40′ TT08-2250 8 / 36′-0” 200 18,000 40′ TT08-2285 8 / 35′-10” 200 18,280 40′ TT09-2285 9 / 35′-10” 200 20,565 40′ TT10-2285 10 / 35′-10” 200 22,850 40′ TT08-2290 8 / 36′-0” 200 18,320 40′ TT09-2290 9 / 36′-0” 200 20,610 40′ TT10-2290 10 / 36′-0” 200 22,900 40′ TT10-2260 10 / 35′-0” 200 22,600 40′ TT08-2240 8 / 35′-8.8” 250 17,920

IIMDG MEGC (Multiple Element Gas Container) – This is specially designed for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as in both ocean and land area.

– NK has type approval of global inspection classes for MEGC and provide MEGC with certificate in compliance CSC, TIP, UIC, ADR, RID, IMDG, TPED, SELO, KGS, DOT, ISO, AAR, KHK – This is specially designed for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as in both ocean and land area.- NK has type approval of global inspection classes for MEGC and provide MEGC with certificate in compliance CSC, TIP, UIC, ADR, RID, IMDG, TPED, SELO, KGS, DOT, ISO, AAR, KHK

키워드에 대한 정보 수소 튜브 트레일러

다음은 Bing에서 수소 튜브 트레일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 국토교통부
  • 국토부
  • 국토부장관
  • 공공주도
  • 굿잡
  • 수소에너지
  • 친환경에너지
  • 미래에너지
  • 미래연료
  • 수소혁명
  • 수소차
  • 수소충전소
  • 안산시범도시
  • 수소시범도시
  • 수소에너지전문가
  • 직업체험
  • 안산시
  • 수소도시
  • 대체에너지
  • 친환경
  • 수소
  • 아무튼출근
  • 수소충전소직업
  • 수소시범도시안산
  • 수소시범도시전주
  • 수소시범도시울산
  • spg공장수소직업
  • 수소튜브트레일러
  • 안산e로움충전소
  • 국토교통부 장관
  • 뉴스
  • 신재생에너지
  • 요소수
  • 친환경차
  • 친환경 차
  • 친환경자동차
  • 요소수 대란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YouTube에서 수소 튜브 트레일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소수 걱정없는 친환경 수소차! 매일 수소 연료 4,300kg를 생산하는 수소 에너지 전문가의 하루 | 수소 튜브 트레일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마도 조사 2 기 자막 | 【한글자막】진정령 요정2편(마도조사소설, 애니 포함) 119 개의 정답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