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제작 과정 |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빠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영상 제작 과정 –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dianhac.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dianhac.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JohnKOBA Design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7,165회 및 좋아요 2,64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보통 3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영상제작되어집니다.

SC프로덕션 제작
  • 기획단계 (PRE- PRODUCTION) …
  • 촬영단계 (PRODUCTION) …
  • 편집단계 (POST-PRODUCTION)

영상 제작 과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 영상 제작 과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혼을 담아 만든 애프터이펙트 초중급 강좌!
존코바 온라인 클래스가 Class101에서 전부 오픈하였습니다!
▼▼▼▼▼▼▼▼▼▼▼▼
https://101.gg/jkoba-class
▲▲▲▲▲▲▲▲▲▲▲▲

안녕하세요, 존코바입니다.
영상을 처음 제작하신다면
꼭 알아두셔야 할 기본 팁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

▶ 영상 사용 및 비지니스 문의 : [email protected]
▶ 본 영상에는 광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COPYRIGHT ⓒ 2015 JOHNKOBA ALL RIGHTS RESERVED.
본 영상의 저작권은 존코바에게 있습니다.
——————————————————————————————–
강의를 보고 만든 이미지나 영상에 대한 출처는
처음 사용하실 때만 밝혀주시면 됩니다.
——————————————————————————————–

#영상제작 #영상편집 #MSI

영상 제작 과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영상학] 영상의 제작과정: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

– 영상의 제작과정은 크게 3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1.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 : 영상 제작을 준비하는 단계 (기획 및 구성) · ① 기획 : …

+ 더 읽기

Source: singiharu.tistory.com

Date Published: 11/12/2021

View: 4128

영상제작과정의 이해 – Daum 블로그

영상제작은 일반적으로 기획 → 구성 → 조사 → 촬영 → 편집 및 녹음→ 복사 → 배급의 과정의 순으로 진행된다. … 그러나 이러한 단계는 아래 표에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1/1/2021

View: 4513

초보자를 위한 동영상 제작 가이드 | Adobe Premiere Pro

영상 프로덕션의 모든 것. 초안부터 최종 컷에 이르기까지 영상 제작의 전체 과정을 살펴보세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도움이 될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adobe.com

Date Published: 1/7/2022

View: 5037

<4> Step by Step – 영상의 제작 단계 – 슈퍼루키

제작하려는 장르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보통은 대본을 바탕으로 콘티 작업을 한다. 콘티 작업은 사전 제작 단계에 들어가기도 하지만, 생략하는 영상작업도 있기 때문에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superookie.com

Date Published: 6/3/2022

View: 4986

영상 제작 프로덕션의 종류와 그 차이점 – wipshot

위키피디아에서는 프리프로덕션은 영상 제작과 관련된 기획 과정이며, 기획이 완료되고 제작(촬영)이 시작될 때 프리프로덕션 단계가 완료된다고 얘기 …

+ 여기를 클릭

Source: wipshot.tistory.com

Date Published: 3/27/2022

View: 1587

유튜브 영상제작과정 – laonac

이를 위해 영상촬영의 기본인 영상제작 기획에서부터 촬영과 촬영편집, 후반작업 등 과정을 교육한다. 과정구분.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

+ 더 읽기

Source: laonac.com

Date Published: 3/2/2022

View: 697

영상제작 과정 – Prezi

사전작업 과정은 시나리오 작업, 스텝, 장소, 배우, 콘티작성, 촬영 장비, 소품 및 의상, 제작 회의까지의 모든 영상제작 준비 과정을 말합니다. 나. 촬영작업(Production) …

+ 여기에 보기

Source: prezi.com

Date Published: 10/24/2021

View: 631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영상 제작 과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영상 제작 과정

  • Author: JohnKOBA Design
  • Views: 조회수 97,165회
  • Likes: 좋아요 2,647개
  • Date Published: 2019. 9. 3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nv5vkWjiKIk

홍보영상 영상 제작과정 – 3단계

[홍보영상] 영상 제작과정

안녕하세요 SC프로덕션입니다 ^^

여러 기업, 관공서, 영리단체 등 곳곳에서 홍보영상에 대한 필요를 느낍니다. 지금은 상품이나 서비스 소개뿐 아니라, 기업에서 하는 가치들을 소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SC프로덕션이 기획에서부터 영상 완성까지의 과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보통 3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영상이 제작되어집니다.

[영상학] 영상의 제작과정: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

영상의 제작과정

프리 프로덕션 / 프로덕션 / 포스트 프로덕션

– 영상의 제작과정은 크게 3단계의 과정 을 거치게 됩니다.

1.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

: 영상 제작을 준비하는 단계 (기획 및 구성)

어떤 영상을 어떻게 촬영하고 편집할 지에 대한 기획안을 작성하고 스토리를 구성한 후, 콘티를 작성하고 그에 맞춰 제작 일정표를 만드는 순으로 진행합니다.

[사전 제작 과정]

① 기획

: 아이템 선정, 사전 자료조사, 포맷 결정, 기획서 작성

② 예산 수립, 제안서 작성, 피칭•펀딩

③ 구성안 작성

④ 자료조사, 섭외

⑤ 촬영 구성안 작성

⑥ 출연자 섭외, 스태프 구성

*기획서의 작성 시 고려할 점

– 영상의 기획 목표

– 시청 대상

– 유사 영상콘텐츠 조사

– 제작 예산의 적정성

– 출연자 섭외, 촬영 가능성

– 심의 규정, 방송법 준수 여부

*콘티

: 글로 이루어진 시나리오를 영상 이미지로 시뮬레이션해 보는 사전 시각화 도구입니다. 또한, 감독이 영상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스태프와 배우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줄 수 있는 시각적 의사소통 도구이기도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숏 분할, 배우의 움직임, 대사, 카메라 앵글과 사이즈, 움직임 등을 지시하는 연출용 대본입니다.

– 스토리보드: 다양한 콘티 작성 방법의 하나로, 영상 스토리를 연속적이고 역동적인 그림으로 그려 제시

*큐시트

: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무엇을 어떤 타이밍에 방송 또는 녹화, 녹음할 것인지를 일정한 형식에 따라 기입하는 진행표 / 프로그램 제작의 진행 순서표

2. 프로덕션(production)

: 실질적인 제작, 즉 촬영이 시작되는 단계 (촬영 및 녹화)

기획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작 일정에 맞춰서 실제로 촬영하는 단계입니다. 촬영, 오디오 녹음, 스크립트 작성, 조명 등을 실제로 작업합니다.

[제작 과정]

① 카메라, 기타 장비, 시설 등 준비

② 로케이션 헌팅, 촬영/녹화 준비

③ 촬영 및 녹화 작업

④ 데이터 백업 및 관리

3. 포스트 프로덕션(post-production)

: 영상의 완성도를 높이는 제작의 마지막 단계 (후반작업)

촬영이 모두 끝난 후, 편집하고 각종 효과를 넣고 마지막에 음향을 입히는 단계입니다. 편집, 색보정, 자막, 특수효과, 음향효과, BGM 등을 통해 영상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후반 작업 과정]

① 촬영본 프리뷰, 편집 구성안 작성

② 가편집, 종합편집

③ CG 제작 및 합성, DI

④ 더빙, 음악 및 효과

*영상 편집 과정

촬영 소스 → 컨버팅(변환/캡처) → 가편집 → 색보정 → 종합편집 → 마스터

*가편집

: 정식으로 편집하기 전에 임시로 진행하는 첫 단계의 편집입니다. 촬영된 영상을 모두 한곳에 모아 NG컷은 제외, OK컷만 추려내어 순서 및 기획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대충 연결하고 기본적인 현장음 등을 배치하여 대략적인 영상 내용을 파악합니다.

*종합편집

: 가편집의 영상을 바탕으로 좀더 세밀하게 작업하는 과정으로, 스토리에 맞는 다양한 화면 전환 효과와 자막을 삽입합니다.

*디지털 색보정(DI: digital intermidiate)

: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의 색감이나 질감을 통일되게 맞추는 작업입니다.

*시사(試寫)

: 영상콘텐츠를 대중들에게 방영 및 상영하시 전에 마지막으로 완성도를 점검하는 작업

이렇게 해서 영상의 제작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영상은 한 두명이 작업하는 것이 아닌 다양하고 많은 기술자들이 각 분야마다 세세하고 정밀하게 작업하는 만큼 구성원들과의 합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습니다★

스토리보드, 시나리오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는 자료라서 올립니다

한번쯤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영상제작과정의 이해

이 세 진

(본원 파견교사)

Ⅰ. 일반적인 영상제작 과정

영상제작은 일반적으로 기획 → 구성 → 조사 → 촬영 → 편집 및 녹음→ 복사 → 배급의 과정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를 크게 3단계로 나누어보면 영화나 비디오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단계인 ① 사전제작(Pre-production)단계, 대상을 실제로 촬영하거나 녹화하는 필름이나 비디오 프로젝트 단계인 ② 제작(Main-production) 단계, 그리고 영화나 비디오 프로젝트에서 편집하거나 수정하고 효과와 그래픽, 제목 사운드를 추가하는 사후제작(Post-produc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는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고정적이지 않고 유동적일 수 있다.

사전제작─────────→ ───────제작──────────────→ ───────사후제작──────────────────→ 프로젝트 계획 소재수집 및 제작 캡쳐/가져오기 제작/합성 구성/편집 출력과 배포 ∙아웃라인 ∙원고 ∙스토리보드 ∙예산/재정 ∙캐스트 ∙복장 ∙세트/도구 ∙장소 ∙상세계획서 ⇨ ∙원본 비디오/스틸촬영 ∙사진삽입 ∙2D/3D로 소프트웨어로 구성요소 만들기 ∙그래픽 만들기 ∙사운드 삽입 ⇨ ∙비디오 디지털화 ∙DV 가져오기 ∙무비 가져오기 ⇨ ∙모션그래픽 ∙비주얼효과 ∙다중레이어 합성 ⇨ ∙비선형편집 ⇨ ∙비디오 ∙필름 ∙CD-ROM ∙DVD ∙Web

1. 사전제작(Pre-production)단계

사전제작단계란 본격적인 촬영에 들어가기 전에 앞서 작품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모든 판단을 점검하는 과정이다. 작품 기획, 자료조사, 구성, 스크립트 작성 등을 한다. 완성도 있는 작품을 만들고 현자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사전에 총 점검해야 하기 때문에 텔레비전 광고나 뮤직 비디오 제작사에서는 PPM(Pre-Production Meeting)에 전 스태프가 참석할 만큼 중요시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극영화인 경우에는 기획안 작성, 시나리오작업, 현장답사 및 콘티작업, 예산안 작성, 배우 및 제작진 선정 등의 작업을 하며 다큐멘터리일 경우에는 기획안 작성, 자료조사 및 구성안 작업, 녹취 및 녹화, 예산안 작성, 그리고 촬영대상 선정 등을 하면 된다.

2. 제작(Main-production) 단계

제작 단계는 촬영과 가편집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사전제작 단계에서 기획한 스토리보드에 따라 촬영을 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극영화에서는 촬영일정표 작성, 장비확보, 촬영지 섭외 및 배우 연기지도, 보충 촬영을 포함한 촬영 등을 행하며 다큐멘터리에서는 촬영일정표 작성, 장비확보, 촬영섭외 및 인터뷰 촬영, 촬영 및 구성안 수정 등을 하면 된다.

3. 사후제작(Post-production) 단계

사후제작 단계에서는 본 편집과 녹음, 시사, 배급 등의 작업이 주가 된다. 작품 전체를 되새겨야 하는 이 과정은 촬영 때와는 또 다른 상상력이 필요한 단계이기 때문에 특히 영상과 음향 등의 조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편집은 컷별로 OK여부를 구분하여 순서대로 가편집을 한 다음 종합편집을 하면 된다. 녹음은 녹음실, 배우, 효과음, 음악 및 내레이션 원고 등을 준비하여 녹음과 믹싱 작업을 하면 된다.

Ⅱ. 영상 제작 및 기획

1. 영상 제작 및 기획

1. 작품을 제작한다고 하는 것은, 비디오 영상을 통해 자신이 생각한 구상과 감정을 메카니즘 통하여 자신의 작품을 훌륭하게 묘사해서, 보는 이로 하여금 감동을 줄 수 있는 영상을 창출해 내는 것이다. 따라서 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먼저, 작품의 소재, 활용하는 목적, 보는 대상(관객), 표현방법, 구성, 시나리오작성 그리고 영상의 흐름과 음악의 선정, 카메라워크, 비디오 기재, 라이팅, 출연자 등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기획이 필요하다.

2. 가. 작품의 소재

3. <무엇을 찍을 것인가>를 먼저 결정한다. 결혼, 회갑, 일상생활, 풍속, 이벤트, 유행, 스포츠, 자연풍물, 문화재 탐방 등.

4. 나. 활용목적

5. 영상화하는 목적이 <어디에 있는가>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기록을 위한 것인가, 홍보를 위한 것인가, 또는 비디오 그룹에서의 습작이나, 연수용인가, 작품화를 위한 것인가 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그 목적과 활용에 따라 제작의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6. 다. 관객(대상)

7. 작품의 성격과 방향에 따라 보는 대상은 각기 다른 감동을 받게 되기 때문에 <누구에게 보여 줄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8. 라. 표현방법

9. 자신이 구상한 계획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 표현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그 표현방법은 실제적인 방법, 예술적인 표현방법, 리포트적인 표현방법, 다큐멘터리적인 표현방법, 인터뷰적인 표현방법, 드라마적인 표현방법 등을 들 수 있다.

10. 마. 작품 구성

11. 스토리보드와 편집용 카드를 작성하여 작품을 구상한다. 즉, 작품에 넣을 장면이나, 음, 그림이나 자막(타이틀) 등을 편집용 카드에 기록하여 시간의 분배나, 음의 타이밍을 체크하기도 하고, 콘티용지를 사용해서 영상의 구도와 음의 처리 등을 체크해서 전체적인 영상의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

2. 화면구성의 이해

가. 샷(shot)

샷은 모든 영상물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영상단위이다. 샷은 도중에 촬영을 중단하지 않고 찍은 하나의 화면을 말하는데 이를 기계적으로 보면 카메라의 녹화시작버튼이 기능한 후부터 종료버튼이 기능할 때까지의 화면이다. 이미 완성된 영화나 텔레비전에서의 샷은 단일 카메라가 잡은 연기의 한 토막. 즉, 화면전환 사이의 한 그림을 말한다.

나. 씬(scene)

장면이라는 말로 영상적인 의미전달의 단위이다. 보통 몇 개의 샷이 모여 하나의 의미를 만드는 씬을 구성한다. 씬은 대체적으로 동일 시간과 동일 장소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다룬다. 씬은 연극에서 온 용어로 배우의 연기가 포함되는 장소나 배경이다.

다. 시퀀스(sequence)

시퀀스는 원래 영화의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용어인데 TV 드라마에도 사용되고 있다. 장소, 액션, 시간의 연속성을 통해 하나의 에피소드를 이루는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 구성단위이다. 시퀀스란 한 개 또는 몇 개의 샷에 의해 구성된 씬이 한 개 또는 수 개가 모여 표현되는 일정 시간내의 완성된 내용을 가진 부분이다. 샷이나 장면이 시각적 단위라면 시퀀스는 내용적 단위라고 할 수 있다.

라. 컷(cut)

컷도 샷과 마찬가지로 영상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샷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는 샷과 컷이 구분되는데 샷은 촬영중심의 용어이고, 컷은 편집중심의 용어이다. 컷은 이런 주요 의미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영상제작의 여러 경우에 특정 행위를 하거나 지시하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다.

․편집에서 필요없는 부분을 잘라내는 것

․영화의 검열에서 잘라내는 것

․비디오 스위쳐로 A화면에서 B화면으로 전환하는 것

․방송국에서 송신이나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것

․연기자의 연기를 멈추는 것

․한정된 방송시간 내에 프로그램이나 CM을 내보내기 위해 대본의 일부를 생략하는 것

․녹음할 때 연기나 연주, 테이프 수록을 멈추는 것

마. 테이크(take)

잡는다, 촬영한다는 의미로 샷과 같은 말이나 기술적인 면에서 카메라의 녹화버튼이 기능한 때를 가리키며 만족스런 샷이 촬영될 때까지 동일 장면을 여러 번 반복된 테이크에 걸쳐 촬영한다. 이 때 다시 촬영하는 것을 리테이크(retake)라 한다.

3. 시나리오

가. 시나리오의 이해

시나리오를 가장 쉽게 이해하려면 영화대본이라고 생가하면 된다. 영어로는 scenario 라고 쓴다. 이 시나리오라는 말은 원래 이탈리아어인데 현재 이탈리아에서는 그렇게 부르지 않고 있고 미국에서 역시 스크린 플레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시나리오라는 말은 단지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만 유일하게 통하고 있는 언어인 셈이다.

시나리오는 영화의 기본적인 줄거리를 극화하는 시각 매체로 건축에서 설계도처럼 영화에서 기본이 되는 뼈대이다. 영화제작용 각본은 물론이고, 텔레비전 드라마의 극본, 다큐멘터리의 대본 등을 모두 총칭한다고 볼 수 있다. 한 편의 시나리오는 몇 개의 이야기덩어리인 시퀀스 (sequence)로 연결되어 있고, 한 시퀀스는 특정의 한 장소, 시간대의 행동인 씬(scene)으로 구성된다. 시나리오는 씬 단위로 기술된다.

예를 들면 인물 혹은 인물들이 어디에서 어떤 행동을 보여주는가를 시나리오는 이 기본적인 전체를 수행한다. 영화의 틀은 발단부에서 전개부(1, 2, 3, 4), 전개부에서 클라이맥스, 클라이맥스에서 에필로그로 총 7개의 시퀀스로 나뉜다. 그렇다면 좋은 시나리오란 어떤 것일까? 영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어떤 내용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하는 장면의 개념으로 시나리오를 쓰는 것이 가장 좋은 시나리오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시나리오의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주제를 정한다. 주제의 표현이 너무 함축적일 때는 그 주제를 확장시킬 수 있는 정보획득 행동이 있다. 실제적이고 감정적인 행동, 이 두 행동을 대개 영화에서는 갖고 있다. 또한 등장인물의 필요성을 먼저 규정한다. 시나리오는 영상으로 설명되는 이야기이므로 등장인물이 어떤 행동을 하느냐로 표현된다. 즉 행동이 등장인물이다. 대사는 등장인물의 내부나 그들 상호간의 대립, 감정적 상태와 변화 등을 보여줘야 하므로 등장인물이 행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나. 시나리오 작성하기

#1. 방 안(오후)

민철 책상앞에 앉아 컴퓨터에 열중하고 있다. 카메라에 나타나는 화면. 화면 클로즈업하면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한창 진행중이다

엄마:”(문을 열며)민철아! 전화왔는데”

엄마 민철옆으로 다가와 전화기를 건넨다

민철:”(전화기를 귀에대고)여보세요?

(전화의 목소리를 확인한 후)엄마! 나가있어. 나 전화받잖아”

엄마:”(민철을 흘깃 쳐다보며)얘는, 그래 그럼 엄마 시장 갔다올께. 저녁 알아서 먹어”

방을 나가는 엄마

#1 (scene 1번이라는 뜻) 그런데 꼭 이렇게 쓰라는 법은 없다. <1>이라고 써도 되고 1.이라고 써도 되고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대로 쓰면 된다. 씬넘버 옆에는 장소와 시간을 설정해 줍니다 예를 들면 #1.지하실 밖, 혹은 #2.버스안 등 이렇게 쓸수 있고 시간을 함께 쓴다면 #23. 복도(밤), 또는 #104.신생아실(낮) 등, 그런데 시간은 꼭 필요할 때 써주면 됩니다. 대게 시나리오상의 내용으로 시간의 흐름을 알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시나리오는 지문과 대사로 구성이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지문에는 괄호 없이 표현하고 소지문에는 괄호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맨처음 예를 든 장면에서는 대지문만이 사용되고 있다. 소지문은 엄마와 민철의 대사에 나오는데 대사속에 있는 행동들을 표현할때 쓰는 지문을 소지문이라 하고 보통 괄호를 사용한다. 소지문 속의 행동들을 너무 자세하게 묘사해줄 필요는 없다.

5. 스토리보드의 이해

가. 스토리보드

스토리보드란 촬영에 들어가기 전 종이에 작품의 전체나 일부분을 그림으로 시각화(visualization)하는 것을 말한다. 스토리보드는 필요에 따라 단순하거나 상세하게 그려질 수 있다. 스토리보드는 제작진이나 연기자들에게 이 영상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어떻게 만들고자 하는지를 비슷하게 보여주는 일종의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스토리보드는 감독이나 제작자의 머리 속에 작품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최상의 방법이다. 머리 속에 그려져 있는 이미지를 말로서가 아닌 그림으로 보여주며 설명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임은 분명하다. 영상은 그 자체가 봄으로써 메시지가 전달되는 시각적인 예술이기 때문에 늘 보고, 그리는 것에 대한 연습을 꾸준히 해야한다. 영상의 본질은 바로 시각이기 때문에 어떻게 표현될 것인지를 상상하거나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종이 위에 기입된 것은 무엇이든 확실하게 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나. 스토리보드의 구성요소

스토리보드에는 그림, 대사, 음악, 음향, 특수효과, 장면과 장면의 연결방식, 각 쇼트의 길이 등을 표시한다. 그렇다고 이런 요소들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단 한가지 그림은 반드시 표시되어야 한다. 스토리보드를 그리기 위해 여러분의 대단한 그림실력을 필요로 하진 않다. 스토리보드의 목적은 생각하는 바를 정확하게 보여주고자 하는데 있다. 스토리보드의 양식은 A4용지를 길게 세워서 왼쪽은 오디오(audio), 중앙은 그림(pictures), 그리고 오른쪽은 비디오(video)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작성하면 된다.

왼쪽의 오디오 부분은 대사나 음악, 음향 등을 표시하고 중앙의 그림부분에는 실제로 촬영하고자하는 영상을 그린다. 오른쪽의 비디오 부분은 그 영상의 쇼트에 대한 정보, 즉 쇼트의 크기랄지, 앵글, 시점, 카메라 움직임이나 장면전환 기법 등을 기입합니다. 그 외에 쇼트의 길이를 미리 고려해 보는 것도 촬영을 할 때 시간을 절약하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AUDIO PICTURES VIDEO 파도소리,바람소리,갈매기소리바다 새 – 땅에 어느 곳, 누구에게도 마음 붙일 수 없어 바다로 온거야 S#1.멀리 바다 위를 나르는 갈매기 E.L.S. Pan, 바다풍경DIS. 너무 많은 것 보고싶지 않아 듣고싶지 않아 예까지 온 거야 S#2.백사장에 조용히 엎드려 있는 소녀의 얼굴 C.U. DIS.

Ⅲ. 영상제작 과정의 이해

1. 극영화 제작

① 기획안 및 구성안 작성

② 예산 편성

③ 배우섭외(casting)

④ 시나리오 작성

시나리오란 영화의 대본이다. 생활 속의 경험과 상상력을 합쳐 허구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한 편의 시나리오는 몇 개의 이야기덩어리인 시퀀스 (sequence)로 연결되어 있고, 한 시퀀스는 특정의 한 장소, 시간대의 행동인 씬(scene)으로 구성된다. 시나리오는 씬 단위로 기술된다. 기발한 아이디어만으로 혼자서 좋은 시나리오를 쓰기는 어렵다. 대개의 경우 여러사람의 협동으로 참신한 스토리, 효과적인 구성, 간결하면서도 꼭 필요한 대사, 살아있는 인물상을 얻을 수 있다.

⑤ 촬영대본(conti 또는 storyboard)

씬을 한번의 촬영단위인 쇼트(shot)로 나누고 쇼트를 구성하는 시각적인 그림과 소리로 나누어 적는다. 인물의 움직임(blocking), 대사, 화면에서의 인물크기(size), 카메라앵글, 카메라움직임, 조명, 특정한 소품 등 쇼트를 찍기 위한 모든 자료를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⑥ 촬영장소 사전답사(hunting) 또는 세트제작

시간대에 따른 태양광선의 조건, 주변소음, 조명을 사용할 경우엔 전원 확인, 이용할 수 있는 부대시설은 무엇이 있는지 확인한다.

⑦ 촬영(SHOOTING)

촬영 작업은 장소 별로 로케이션(location), 오픈세트(open set) 세트(studio set) 촬영으로 나뉘고 시나리오 상 시간별로 낮 장면과 밤 장면으로 나뉘어진다. 대본상의 순서, 밤낮의 구분, 장소이동, 날씨 등을 고려하여 촬영순서를 정한다. 동시녹음의 경우 특히 연기자의 대사를 깨끗하고 크게 녹음하는 것이 중요하다. 촬영내용을 기록하는 스크립터(scripter)는 대사, 행동, 소품, 의상 등이 편집 시 장면 연결에서의 중요변수를 집중적으로 관찰한다.

⑧ 편집

그림편집과 소리편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비디오의 경우 소리와 같이 테입에 기록되지만, 영화의 경우 그림은 필름에, 소리는 여러 종류의 테입에 각각 기록된다. 편집의 단계에 따라 순서편집, 가편집, 본편집으로 발전해간다. 순서 편집에서 촬영물을 OK/NG로 골라내어 대본의 순서대로 OK컷을 붙인다. 이 단계에서 재촬영이나 보충 촬영할 부분을 체크한다.

⑨ 녹음

녹음은 동시녹음과 후시녹음(녹음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생효과(foley) – 발걸음 소리, 커텐이 바람에 날리는 소리 등 신체나 소품을 이용하여 사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소리

– 테입효과 – 기차소리, 파도소리, 새소리, 등 외부에서 채록된 소리, real tape이나 CD로 보관

– 대사 – 나레이션이나 대사를 녹음

– 음악 – 기존의 곡을 선곡하거나 작곡해 사용

– 믹싱 (mixing) – 각각의 트랙에 기록된 소리들을 크기, 음색, 효과 등을 조절해가며 하나의 완성된 소리로 통합시킨다.

2. 다큐멘터리 제작

“다큐멘터리”의 사전적 의미는 ‘허구(거짓)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고 어떤 사건이나 인물에 관한 사실을 보여주는 TV 프로그램이나 사실적 영화’라는 것이다. “Documentary”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Document가 어원으로 옥스포드 영어사전에 따르면 Documentary라는 용어에는 교육, 훈계, 경고의 뜻이 내포되어 있다. 다큐멘터리의 소재로는 역사, 사회, 인간, 자연, 과학, 문화, 스포츠 등 모든 것이 동원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인간’은 다큐멘터리에 있어 무엇보다 흥미로운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요즈음 다큐멘터리들은 보는 사람들에게 특정한 행동이나 생각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스스로 느끼고 생각하고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① 먼저 [누구에게 보여 줄 것인가?]를 정하자

② 주제를 결정하자

③ 기획안을 작성하자

④ 조사

⑤ 가구성하기

⑥ 촬영

⑦ 구성하기

⑧ 편집

⑨ 해설쓰기

⑩ 오디오 더빙작업

3. 뮤직비디오 제작

① 음악 선곡

② 기획 및 스토리 보드 제작

③ 영상 소스 채집(VTR 녹화 및 캠코더 촬영)

④ 비디오 캡쳐

⑤ 그래픽/사운드 소스 제작 및 수집

⑥ 영상 편집 작업

초보자를 위한 동영상 제작 가이드

계획 프로세스 살펴보기

대부분의 경우 제작자와 감독은 가장 먼저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창의적인 연출과 관련된 모든 일은 감독이 담당하고 자금 조달, 인재 채용 등 영화 제작을 위한 전반적인 업무는 제작자가 담당합니다. 필요에 따라 이들은 기업과 협력하고, 자체 프로덕션 팀과 계약하기도 합니다.

작가, 촬영 감독, 영화 감독이 함께 작업하여 영화 스토리보드를 만들고 대본을 작성합니다. 대부분 영화의 경우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대본이 완성되며, 이를 화면에서 어떻게 잘 표현할지 구상합니다. 한편 제작 팀은 장소와 배우를 섭외하고 예산을 확정하고,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영화 감독과 촬영 감독이 함께 섭외하고 어느 장소가 적합한지 논의하죠”라고 촬영 감독 Hara Hiroshi는 말합니다. 프리 프로덕션 동안 만들어야 하는 필수 항목 중 하나는 촬영 목록입니다. 촬영 목록을 작성해 두면 촬영 일정에 맞게 진행하고 중요한 촬영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영상 출시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영화 제작과 함께 실행될 마케팅 전략을 간략하게 설명하여 필요한 프로모션을 제시하는 것도 좋습니다.

촬영하기 전에 전반적인 프로젝트의 전략과 방향을 조정해야 합니다. “일정이 도중에 바뀌기도 하지만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모든 잠재적 문제를 해결하여 실제로 제작에 들어갔을 때 최고의 장면을 얻고 배우의 연기에만 집중하려고 합니다”라고 Hara는 말합니다.

<4> Step by Step – 영상의 제작 단계

<영상의 제작 단계>

사전 제작 단계 (Pre production)

© florianklauer, 출처 Unsplash

먼저 사전 제작 단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획과 구성을 하게 된다. 영상을 제작하기 앞서서 간단하게라도 기획과 구성을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 부분이 정확하게 정리가 되면 뼈대가 제대로 세워지는 것이다. 기본 바탕이 바로 서야 모든 것이 제대로 설 수 있다.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우리는 사전 제작 단계를 무시하지 않기로 하자.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기획에서는 많은 생각들이 앞서겠지만 제작하려는 영상의 목적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목적에 따라서 형식이 달라지고 장르가 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목적에 따른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적어보고 자료를 수집하고 제작 스케줄도 짜 보자. 아이디어는 바로바로 메모하자. 좋은 아이디어는 언제 떠오를지 모르는데, 잠깐 사이에 잊어버리는 경우가 태반이다. 메모하는 습관을 기르자. 우리에게 찾아오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누가 알겠는가? 아이디어 하나에서 대작이 탄생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벌써부터 이것저것 재면서 미리 생각의 폭을 축소시키지 말자. 아이디어는 다양하게 날개를 뻗어나가도록 두는 것이 좋다.

자료를 수집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인터넷을 많이 활용할 것이다. 물론 좋은 방법이고 빠른 방법이다. 하지만 인터넷 외에 일반 서점이나 도서관을 꼭 이용하기를 권장한다. 생각보다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좋은 자료들이 많다. 관심이 있는 분야에 따라서 자료수집을 충분히 해보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사람들을 만나서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 제작 스케줄을 작성해보자. 꼭 이대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순히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과 실제상황은 많이 다르다. 적당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여 제작 스케줄을 정리해 본다. 이제 필요한 대본을 구성하는 일이 시작된다. 이제부터가 영상제작을 위한 본격적인 일들이 시작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제작하려는 영상의 장르에 따라 다르지만 대본의 구성은 가장 중요하다. 어떤 장르의 영상이 되더라도 기본적인 대본의 구성은 꼭 필요하다. 대본이 완성되면 이제 본격적인 촬영에 대비한 준비를 해야 한다.

제작 단계(Production)

© jmuniz, 출처 Unsplash

제작하려는 장르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보통은 대본을 바탕으로 콘티 작업을 한다. 콘티 작업은 사전 제작 단계에 들어가기도 하지만, 생략하는 영상작업도 있기 때문에 제작 단계에 넣었다. 촬영을 하기 전에 콘티 작업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수많은 장면들을 대본만 보고 촬영하는 것은 어찌 보면 위험한 일이다. 놓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고 실수할 확률도 높다.

숙달된 PD들은 머릿속에 콘티가 그려지고 그대로 촬영이 가능하지만 그건 나중일이다. 당장은 상상이 될 수도 있지만, 막상 촬영을 하려고 하면 머릿속이 텅 비어 버릴 수도 있다.

콘티를 바탕으로 이제 본격적인 촬영에 대해 연구할 때가 되었다. 촬영은 혼자서도 가능하겠지만 때로는 스텝이 필요할 수도 있다. 규모에 따라서 장르에 따라서 고민하면 된다. 촬영 장소를 물색하는 일도 꼭 필요하다. 촬영하기 전에는 꼭 직접 가서 체크해 볼 필요성이 있다. 직접 가서 체크하지 않으면 촬영 당일날 큰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촬영 스케줄은 따로 정리해서 작성해 놓자. 장소에 따라 미리 찍어야 할 것도 있고 나중에 찍을 것이 있을 것이다. 때에 따라서는 날씨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니, 여유 있게 하루 이틀 정도는 빼놓는 것이 좋다. 카메라나 조명, 장비에 대한 문제들도 미리 점검하여 촬영에 지장이 없도록 준비한다. 이제 대본과 콘티를 참고하여 멋진 장면들을 촬영하면 된다. 촬영 후에는 촬영본이 담겨있는 테이프이나 메모리카드를 목숨과 같이 여긴다. 현장에서 바쁘고 정신이 없을 때는 챙기지 못할 수도 있으니 사전에 철저하게 점검한다. 한 번 촬영한 것은 절대로 똑같이 다시 촬영할 수가 없다. 또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오디오에 관한 문제다. 오디오를 같이 녹음해야 할 필요가 있는 촬영이라면 좀 더 신경을 쓰도록 해야 한다. 오디오 때문에 애타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생긴다. 가끔 후반 편집으로 모든 것을 커버하려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것은 정말 잘못된 것이다. 좋은 촬영이 없으면 좋은 결과물을 기대하기 힘들다. 한 컷 한 컷 공들여서 촬영하면 편집할 때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촬영이 끝나면 놓친 것이 없는지 다시 확인하고 마무리한다.

후 제작 단계(Post production)

© joaosilas, 출처 Unsplash

촬영까지는 잘 끝냈다. 이젠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차례이다. 각자에게 맞는 편집 툴을 이용해서 멋지게 결과물을 만들어 보자. 시중에 나와있는 편집 툴들은 다양하지만 많이 쓰이는 툴들이 몇 가지 있다. 뒷부분에 따로 설명하도록 하겠지만 어느 정도 대중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쓰는 것이 좋다. 혼자만 작업하는 것이라면 상관이 없지만 다른 사람들과 연계작업을 한다던가,

그래픽 합성을 추가로 해야 한다면 프로그램들 간의 긴밀한 연관성도 무시할 수 없다. 대부분의 영상제작에서 자막이나 추가적인 그래픽 작업은 이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그래서 촬영할 때에도 후반에 결과물이 어떻게 될 것인지를 염두에 두고 촬영해야 한다. 편집을 할 때에는 가장 기본적으로 OK 컷을 골라내는 작업을 먼저 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적 순서에 맞게 내용에 맞게 가편집을 먼저 한다. 가편집본을 바탕으로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가는 종합편집을 하게 된다.

가편집과 종합편집을 구분 없이 작업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주 숙달된 작업자가 아니라면

추천하지 않는다. 꼭 가편집과 종합편집을 나누어서 작업하는 것이 여러 가지로 유용하다. 종합편집을 하다 보면 콘셉트가 달라질 수도 있고 수정을 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가편집본이 없다면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작업해야 한다. 따라서 정해진 순서대로 편집하는 것을 지켜야 추후에 우리의 정신건강도 지킬 수 있다. 편집을 하다 보면 가끔씩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작업 중에 수시로 저장하는 습관은 필수고 작업 파일들을 잘 관리해야 한다.

무슨 이야기인지는 경험해본 사람들만 알 것이다. 종합편집과 그래픽 작업도 마무리되고 이제는 오디오 작업에 좀 더 치중해서 다시 한번 편집본을 체크해본다. 오디오 편집은 매우 중요하다. 화면이 아무리 그럴싸해도 오디오가 들쑥날쑥하면 제대로 된 감상을 할 수가 없다. 소리의 크고 작음을 일정하게 맞추고, 노이즈를 제거하고, 배경음악도 적절하게 삽입한다. 때에 따라서는 효과음이나 다른 사운드가 필요할 것이다. 내레이션이 필요할 경우에는 더빙 작업도 겸해야 한다.

이렇게 종합편집이 마무리되었다. 이제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는 랜더링 작업만 거치면 제작의 결실을 맺는다. 필요한 용도와 형식에 맞추어서 랜더링 작업을 마무리한다. 하나의 제작물이 탄생하는 순간이다. 땀과 노력이 결실을 맺은 우리의 창작물이다. 이 영상파일 하나를 위해 수많은 고뇌의 시간을 보냈다. 이렇게 탄생한 영상이 세상에 널리 퍼져 우리의 뜻을 전할 것이다.

우리는 아무것도 없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했다.

심 PD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영상 제작 프로덕션의 종류와 그 차이점

영상 제작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결국 영상 제작의 단계는 어떠한 영상 종류던지 크게 3단계로 나뉘어지는데요 바로 ‘프리 프로덕션’ , ‘프로덕션’ , ‘포스트 프로덕션’ 입니다.

영상의 종류나 제작 규모에 따라 세부적으로 다른 작업 과정이 추가되거나 다소 축소될 수도 있지만 영상을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결국 이 3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1. 프리 프로덕션 (Pre-Production)

Pre–production is the process of planning some of the elements involved in a film, play, or other performance. There are three parts in a production: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Pre-production ends when the planning ends and the content starts being produced. Wikipedia

위키피디아에서는 프리프로덕션은 영상 제작과 관련된 기획 과정이며, 기획이 완료되고 제작(촬영)이 시작될 때 프리프로덕션 단계가 완료된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설명하자면, 영상제작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기획과 구성에 관련된 단계입니다. 따라서 어떤 영상을 언제, 누가, 어떻게, 어디서 촬영하고 편집할지에 대한 기획을 하는 단계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주로 스토리를 구성하고, 촬영 콘티를 만들며 전체 제작 일정을 계획하고 예산을 구상하는 일들을 진행하게 됩니다. 실제 촬영이 진행되는 단계는 아니지만 계획한 영상을 촬영할지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 단계입니다.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만들어지게 되는 ‘스토리보드’ 예시

2. 프로덕션 (Production)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만들어진 기획안 및 제작 일정에 맞춰서 영상을 실제로 촬영하게 됩니다.

즉, 카메라로 피사체를 포착하여 그 영상을 필름, 테이프 등으로 기록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실제 촬영을 위한 단계이기 때문에 더 많은 인원 및 장비가 필요하게 되고 영상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장소를 이동해가면서 촬영하게 됩니다.

영화 촬영 현장

영상 제작을 위한 3단계 중에서 사람과 장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단계라고도 볼 수 있으며, 촬영에 걸리는 기간은 영상의 종류 및 분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기업 홍보영상의 경우에도 촬영 준비부터 실제 촬영까지는 3일~10일 정도가 걸릴 수 있습니다. 영화와 같은 긴 분량의 영상일 경우에는 더욱 시간이 많이 소요되죠.

프로덕션 단계에서 촬영한 영상은 그 기본적인 특성상 수정이 매우 어렵습니다. 물론 다음에 나오는 포스트프로덕선 단계에서 특수효과, CG, 편집을 하기도 하지만, 수많은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들로 만들어진 영상의 특성상 수정 작업은 매우 어려운 일이죠. 그렇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을 고려하면 영상 촬영을 위해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고 촬영 현장, 편집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도 미리 고려하여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수많은 영상을 기록한 내용은 이후에 편집을 해야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과정도 필수적입니다.

3. 포스트 프로덕션 (Post production)

영상의 완성도를 높이는 후반작업입니다.

촬영이 완료된 이후에 편집, 보정, 음향, 특수효과등을 넣게 되는 단계인데요 특히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의 작업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촬영한 내용을 프리뷰하고 편집을 진행합니다. 그리고 CG(Computer Graphic)을 입히는 등의 특수효과를 넣는 작업을 진행하고 더빙 및 음악/음향 관련된 작업을 하게 됩니다.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포스트프로덕션 작업에서 특수 효과 등의 작업은 VFX 라는 분야로 전문화되었고, 많이들 보셨던 어벤저스와 같은 영화에서는 영상물의 거의 대부분에 특수효과가 포함됐습니다.

어벤저스 VFX Breakdown 출처 : youtube (Framestore)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프로덕션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물을 다양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여러 담당자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게 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협업이 진행되게 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영상 제작 과정

다음은 Bing에서 영상 제작 과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 영상기초
  • 영상디자인
  • 영상편집
  • 프리미어
  • 애프터이펙트
  • 디자이너
  • 디자인
  • 영상초보
  • msi
  • 영상제작
  • 유튜버
  • 크리에이터
  • 영상만들기
  • 포토샵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YouTube에서 영상 제작 과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초보를 위한 영상 제작전에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팁! // 존코바 | 영상 제작 과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Wymiana Radia Skoda Octavia 1 | Radio Installation: Skoda Octavia (1996-2004) | Justaudiotips 247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