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연구원 직급 체계 – 연구원, 궁금한 거 다 말해 1탄! 연봉? 근무시간? 하는 일?“?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dianhac.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dianhac.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홍세발이_sebari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4,017회 및 좋아요 38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연구원 직급 체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연구원, 궁금한 거 다 말해 1탄! 연봉? 근무시간? 하는 일? – 연구원 직급 체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안녕하세요, 세발이입니다 🙂
오늘은 저의 직업인 연구원에 대한 주제로 돌아왔어요!
유튜브를 보다보니 연구원에 대한 영상들도 많이 있어서 저의 경험도 한 번 말해보고 싶어서 만들게 되었습니다! 제가 이렇게 말이 많은 줄 몰랐는데 진짜 투머치토커라 한 번에 편집이 안되네요 ㅠ_ㅠㅋㅋㅋㅋ 다른 궁금한 것들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오늘도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인스타그램 👉 _sebari
❣ 세발이 메일 👉 [email protected]
❣ 저와의 개인 상담이 필요하신 분들은 K-클럽에서 ‘홍세미’ 멘토를 찾아주세요 😉
👉 https://k-club.kird.re.kr/prog/mentor/career/sub01_01_02/list.do
❣ 세발이가 만들었으면 하는 영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2he598E6ATR-D5WFXy1Cwk83-gJi5Z3xm7J_Xsw3cJbnb-g/viewform?usp=sf_link
❣ 효율적인 연구실생활을 위한 세발이의 꿀팁이 궁금하다면
👉 https://sebari.tistory.com/
❣ 세발이 채널에 가입하여 세발이가 영상을 만드는 것을 후원해주세요 😘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MJ6GHqX_4gSSmRui_riwg/join
🚫 본 영상에 대한 저작권은 ‘홍세발이_sebari’ 에게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반드시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야 하며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 사이트 업로드 및 인용을 원하신다면, 사전에 메일로 사용 출처와 업로드 범위를 알려주시고, 협의 하에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연구원 직급 체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연구소 직급체계 – 네이버 블로그
그런데, 연구소의 직급 체계는 좀 일반적이지 않아서 그런지 … 연구원 직책부여는 그회사의 조직체계와 인사 제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체적으로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0/2022
View: 1724
사무직/회사 직급, 직위 체계 – IT와 잡동사니 지식
연구직 직급체계는 일반 회사 직급체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인턴-연구원-주임연구원-전임연구원-선임연구원-책임연구원-수석 …
Source: kasper1030.tistory.com
Date Published: 10/18/2022
View: 2453
연구소 직급이 어떻게 되나요? – BRIC
연봉이나 대우등을 비교해보면 선임연구원은 회사에서 과장이나 차장정도 되겠네요.
Source: www.ibric.org
Date Published: 8/19/2022
View: 6237
회사별 연구원 직급 체계가 어떤지 궁금하네요 – Blind
여기 회사는 중소기업인데 연구원들도 직급체계가 사원 주임 대리 이렇게 나누는던데 다른회사 연구원들은 선임연구원 주임연구원 이렇게 명함이 …
Source: www.teamblind.com
Date Published: 5/17/2021
View: 7893
연구원 직급 및 영어 표기방법 알아보기
연구원 직급 및 영어 표기방법 안내 회사에 취업을 하게 되면 주변 직장 선배나 상사 등의 직급 이름등을 확인을 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회사 직급 …
Source: lovecarinfo.tistory.com
Date Published: 3/12/2021
View: 5963
연구원 직급 및 영어로 표현방법 – 2분전
연구원 직급과 연구원 영어로 표현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연구원, 주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의 순으로 연구원진급이 …
Source: 22minuteago.blogspot.com
Date Published: 9/28/2022
View: 2079
회사 직급체계와 영어직급 그리고 연구소 직급
회사 직급체계와 영어직급 그리고 연구소 직급 상무 직급이 전무 직급보다 높은가 ? 부장과 차장의 차이는 ? 사회초년생들이 겪기 쉬운 업무보고체계 …
Source: beshallow.tistory.com
Date Published: 11/30/2021
View: 8872
연구원 – 나무위키
일부 전자 분야 같은 경우 스타 연구자는 연봉이 몇십 억대다! 물론 내 얘기는 아니겠지 연구 성과에 따라 연봉이 널뛰기를 한다. 다만 연구 업적에 이름 …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1/10/2022
View: 5099
회사 직급 순서 – 연구소 직위, 직책
여기서 임원을 제외하고는 크게 5가지로 직급체계를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직이 아닌 연구직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Source: www.smtmap.com
Date Published: 9/16/2021
View: 800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연구원 직급 체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연구원, 궁금한 거 다 말해 1탄! 연봉? 근무시간? 하는 일?.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연구원 직급 체계
- Author: 홍세발이_sebari
- Views: 조회수 44,017회
- Likes: 좋아요 381개
- Date Published: 2019. 10. 2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SIGmUkfL9gc
연구소 직급체계
1.사원 : 연구소에 입소 했다고 해서 모두가 연구원이 되지 않습니다.
보통 1년정도는 사원으로 근무 하다가 이사람이 연구원으로 자질이 있는지 없는지 관찰 하는 기간 입니다.(일반직의 시보기간)
2.연구원 : 입소후 일정기간이 자나 연구활동을 수행해도 별 하자가 없다고 판단 되면 연구원이라는 직책이 주어 집니다.(일반직의 정 사원)
3.주임연구원:연구원으로 몇개의 project를 수행한 결과로 연구원으로 손색이 없다면 주 임무가 연구라는 뜻으로 주임 연구원이 됩니다.(일반직의 주임 이나 대리)
4.선임 연구원 :이때부터 주도적으로 연구를 할수 있으며 연구의 한 project에 대해 책임 가지며 리더가 됩니다.(일반직의 과장)
5.책임 연구원 : 연구원으로써 몇개의 project를 동시에 수행할 능력이 갖추어져 있으며 선임 연구원의 리더가 됩니다.
보통 일반직의 차장이나 부장급에 해당 됩니다.
일반적으로 연구원으로써의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정도 입니다.
이때부터 연구에 필요한 예산이나 인력등을 편성 하기 시작 합니다.
6.수석 연구원 : 이정도 되면 연구소에서 일어 나는 담당 분야에서는 최고의 자리이며 책임연구원의 리더가 되며 경영을 제외한 모든 연구활동의 총 책임자 이기도 하며 회사에 따라서는 주어진 한도에서 경영활동에도 참여 할수도 있는 수준 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석 연구원이라는것은 연구소에서 하부 조직으로는 잘 두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일반직의 차장 제도가 있는 회사라면 발란스를 맞추기 위해 책임연구원은 차장,수석연구원은 부장.이렇게 하는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전임” 이라는것은 연구활동만 하는지 아니면 관리업무도 겸하는지에 따라 붙일수도 있는데 전임한다면 오로지 연구활동만 하는 연구원을 포괄적으로 지칭 하는말로 쓰입니다.
연구원 직책부여는 그회사의 조직체계와 인사 제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체적으로 이렇게 구성 되어 있습니다.
회사 직급 정리, 연구 직급, 각종 회사 직책 직급 한번에 정리(대리, 계장, 팀장, 부서장, 파트장, 임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수석연구원, 전임연구원, 인턴, 사원),생산직
우리는 사회생활을 하며 한 기관이나 단체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각자의 역할과 역할에 따른 직급이나 직책을 부여 받습니다. 이번글은 제목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분야의 직급과 직책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무직/회사 직급체계
2. 연구소/연구 직급체계
3. 생산직/기능직 직급체계
4. 직급별 영문표기
사무직/회사 직급, 직위 체계
크게 직원과 임원으로 나눠집니다.
직원은 인턴-사원-주임-계장-대리-과장-차장-부장 순서입니다. 기업이 크면 위와같은 모든 직급체계를 사용하지만 회사가 작은 경우 는 인턴-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 정도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장 이상부턴 임원으로 분류됩니다. 이사-상무-전무-부사장-사장-부회장-회장 순서입니다. 마찬가지로 기업의 규모가 큰 경우는 위와 같은 모든 임원 직급체계를 사용하지만 기업 규모가 작을경우는 대표이사 외에 이사,상무 정도의 몇개 칭호만 사용합니다.
결과적으로 보편적인 회사 직급은 인턴-사원-주임-계장-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상무-전무-부사장-사장-부회장-회장 입니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건 직급 또는 지위라 부릅니다. 팀장, 실장, 파트장 등의 호칭이 있는데 이런경우는 직책이라부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 기업에서는 팀원인데 차장인 경우도 있고 과장인데 팀장인 경우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임원직급인데 역할에따라 CEO, CSO, CTO 등으로 불려질 수 있습니다. 해당 관련하여는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kasper1030.tistory.com/145
마치 군대체계와 비유하면 짬이 오래된 행보관과 신임 소대장과 같은 느낌이죠. 직급만보면 과장보다 차장이 더 높을지 몰라도 역할로 따지면 팀원보단 결정권을 크게갖고있는 팀장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연구소/연구원 직급, 직위 체계
연구직 직급체계는 일반 회사 직급체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인턴-연구원-주임연구원-전임연구원-선임연구원-책임연구원-수석연구원 순서이며 임원부터는 일반회사 직급체계와 다르지않습니다.
그리고 주임연구원과 전임연구원을 나열할때 주임보다 전임을 높게 적었는데 사실 회사 기준의 차이이지 주임=전임 차이가 없습니다. 동직급으로 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회사 직급과 연구원 직급을 비교하여보면
연구원 – 사원급
주임연구원/전임연구원 – 주임~대리급
선임연구원 – 대리~과장급
책임연구원 – 과장~차장급
수석연구원 – 부장급
입니다.
마찬가지로 회사가 작은경우는 연구원-주임연구원-선임연구원 순서로 가거나 연구원-전임연구원-선임연구원 순서로 갑니다 제가 위에서 선임연구원 대리~과장급 책임연구원 과장~차장급 이라고 한 이유는 2가지가 있습니다. 만약 정부출연연구소나 대기업 연구소의 경우는 선임연구원이 과장급일 수 있지만 기업이 작은경우는 선임연구원이 대리급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순 연구소가 아닌 연구소가 회사 하나의 파트가 따로 있는경우는 연구원 직급과 회사원 직급을 씁니다. 선임연구원/대리 이런식으로 말이죠.
생산직/기능직종 직급체계
사원-조장-반장-직장-공장 여기도 일반 회사 직급과 비교하긴 좀 힘들지만 조장이 주임급, 반장이 대리급 직장이 과장~차장급, 공장이 부장급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산직/기능직/연구직/사무직의 직급체계를보면 직원의 직급은 서로 차이가 있지만 임원의 호칭은 동일합니다. 생산직/기능직종 체계와 연구원체계, 일반 회사 직급 체계 셋을 비교하는건 조금 무리가 있을진 몰라도 각자의 역할이 있기에 회사가 돌아가는 것 입니다. 그리고 회사는 직급이아닌 실력으로 밀어붙이는게 정답입니다.
회사 직급 에티켓, 직급부르는 방법
신입사원들에게 회사생활까지 왔다는건 학창시절부터 현재까지 최소한의 기본 소양은 갖췄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기때문에 호칭예절이 있습니다.
자기보다 높은 직급을 부를땐
~~님 또는 ~~책임님, ~~부장님 이런식으로 직함에 님짜를 붙이면 됩니다.
자기와 동급인 경우는
직급만 부르거나, 친하지 않은경우는 직급에 님짜를 붙이거나 ~~씨 등으로 부를수 있습니다.
예시) “김 선임님”, “박 선임, “~~씨”
자기보다 낮은경우는
~~씨, ~~직급, 이런식으로 부르면 됩니다.
예시) “김 주임”, “김ㅇㅇ씨”
직급별 영문 표기법
최고 경영자 CEO ( Chief Executive Officer) 최고 운영 책임자 COO ( Chief Operating Officer) 최고 재무 책임자 CFO ( Chief Financial Officer) 최고 개발 책임자 CDO ( Chief Development Officer) 최고 보안 책임자 CSO ( Chief Security Officer)
사장 President / Chairman 부사장 Vice President 전무 Executive Managing Director 상무 Managing Director 이사 Executive Director 사외 이사 Outside Director 고문 Advising Director 감사 Auditing Director
부장 General Manager 차장 Deputy General Manager 과장 Manager 대리 Assistant Manager 주임 Senior Clerk / Senior Staff / Supervisor 사원 / 직원 Clerk / Staff
조장 (Field) Leader / Group Leader / Junior Mechanic 기장 Mechanic 판매사원 Sales Clerk 비서 Secretary 운전원 Driver 용역 Hired Services
수석연구원 Principal Research Engineer 책임연구원 Senior Research Engineer 선임연구원 Junior/Senior Research Engineer 주임/전임 연구원 Assistant Research Engineer, 연구원 Research Engineer
연구소 직급이 어떻게 되나요?
[진로] 연구소 직급이 어떻게 되나요? 이런천사 (2015-04-17 19:51) 일반 회사는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 순이고
가끔 사원과 대리 중간에 주임이 끼는 곳도 있잖아요
그런데 연구소는
연구원-주임연구원-선임연구원-책임연구원 이런순인가요?
주임연구원이 일반회사로 주임격인지요
아니면 주임연구원이 일반사원 격인가요??? 궁금합니다.
이슈추천 3
Your Anonymous Workplace Community
notification
Oops! Something went wrong.Please try again later.If the problem continues, please contact our team at
연구원 직급 및 영어 표기방법 안내
연구원 직급 및 영어 표기방법 안내
회사에 취업을 하게 되면 주변 직장 선배나 상사 등의 직급 이름등을 확인을 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회사 직급하면 인턴, 사원, 주임, 대리, 과장, 부장 등의 순서로 나가기 때문에 누가 누구보다 상사인지 눈치껏 파악을 해야 합니다. 오늘은 연구원 직급 및 연구원 영어 표기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원 부서의 경우 일반 직급 체계와는 좀 다르게 진행을 하기 때문에 취업하기 앞서 연구원 직급에 대해 알아두면 나중에 보다 빠르게 적응을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습니다.
연구원 직급은 사원 대신 연구원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보편적으로 연구원부터 시작해서 주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수석연구원으로 연구원 진급이 이뤄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보통 인사제도를 보면 회사의 직급체계를 알수가 있는데 현대아이에이치엘(ihl) 회사의 경우 연구원에서 주임연구원까지 걸리는 시간 등 일반직과 연구직으로 나눠서 정리가 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회사들이 이렇게 연구원이라는 명칭을 쓰는것은 아닙니다.
KOTITI 시험연구원의 경우 사원(staff), 주임(serior staff), 계장(subsection chief), 대리 (assistant manager), 과장(manager), 차장(deputy general manager), 부장(general manager)으로 되어 있는걸 볼수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예시한 대로 생각을 하면 되겠고 추가로 여기서 회사마다 조금씩 다른 부분이 생길수가 있다는 점만 기억하면 되겠습니다. 임원급의 경우 일반직이나 연구직 할 것 없이 보편으로 전무, 이사 등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취업한 회사의 정보를 알고 싶다면 회사 홈페이지에 인재채용 부문에 인사제도를 확인해 보는것이 좋습니다. 인사제도 메뉴를 통해 승진이나 교육 등의 정보를 추가로 알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구원 영어 표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구원 = Research Engineer
주임연구원 = Assistant Research Engineer,
선임연구원 = Junior/Senior Research Engineer
책임연구원 = Senior Research Engineer
수석연구원 = Principal Research Engineer
선임이나 책임 연구원의 경우 통합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아 참고용으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연구원 직급 및 영어의 표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구원 직급 및 영어로 표현방법
in 연구원 영어로
일반적으로 회사 직급하면
생각나는게 인턴부터 시작해서
사원, 주임, 대리, 과장 등으로
생각하기 쉬운데요.
연구 개발 부서나 회사의 경우
조금 다릅니다.
연구원 직급은 사원대신
연구원부터 시작을 하는데요.
그럼 오늘은
연구원 직급과 연구원 영어로
표현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연구원, 주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의
순으로 연구원진급이 이루어지는데요.
다만 모든 회사가 동일하게
연구원 직급을 사용하는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코티티시험연구원의 경우
일반 회사처럼 사원, 주임,
계장,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의
직급 순으로 진급이
되는걸 볼수가 있습니다.
한솔테크닉스의 경우
공통직은 일반처럼, 연구직은
연구직 처럼 진급되는걸
볼수가 있습니다.
그외에 전무나, 이사 등의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쓰일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연구원 영어로 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구원 – Research Engineer,
주임연구원 Assistant Research Engineer,
선임연구원 – Junior/Senior Research Engineer
책임연구원 – Senior Research Engineer
수석연구원 – Principal Research Engineer
선임연구원의 경우
회사마다 다르게 부르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연구원 직급 및
연구원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회사 직급체계와 영어직급 그리고 연구소 직급
회사 직급체계와 영어직급 그리고 연구소 직급
상무 직급이 전무 직급보다 높은가 ? 부장과 차장의 차이는 ?
사회초년생들이 겪기 쉬운 업무보고체계에서 선배가 알려주는 것도 아닌 아주 간단한 상식과도 같은 회사의 직급체계가 때로는 당황스러운 상황을 연출하기도 합니다.
상무님과 전무님이 계실때 어느분에게 먼저 인사해야 하는지, 때로는 부장직급과 차장직급의 상위관계는 어떤지 누구도 알려주지않지만 당연히 알아야 하는 회사생활에서의 직급체계를 알아 볼까 해요.
여기에 요사이 IT 쪽회사나 연공서열의 구분이 모호한 회사들도 많이 나오고 있지만 영어직책을 명함에 올리는 경우도 있고 연구소쪽은 또 어떻게 표현되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회사 직급 체계
직급은 회사에서 나의 위치이며 신분이고 호칭입니다. 신입으로 들어가서 한 단계씩 올라가며 명함 새겨지는 본인 이름 옆이나 밑에 새로이 새겨지는 직급은 직장인들에게는 자신이 성장해가는 가장 현실적인 목표라고 이해하면 맞을 듯 합니다.
직급이 올라가야 급여도 상승하고 대우도 달라지는 즉, 회사에서 나를 이만큼 인정해준다는 선을 그어 준거 같은 느낌이니까요.
대기업의 경우는 이러한 호칭을 단순화하여 승진에 따른 직급에 연연하지 않고 실력과 전문성 그리고 실용성을 강조하는 분위기로 인해 직급체계가 변경되고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직 일반회사에서는 예전에 사용하던 호칭과 직급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회사의 임원급을 분류되는 직급은
회장
부회장
대표이사
사장
부사장
전무
상무
순으로 직급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무와 상무는 회사의 이사에 준하는 직급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타이틀이 없는 경우 그냥 ‘이사’로 호칭을 부르면 됩니다.
같은 이사라 해도 전무이사와 상무이사는 직급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되요. 전무이사의 직급은 의사결정권에 있어서 상무이사보다 한참 위라고 생각해도 될 수 있습니다.
※ 이외에도 감사. 고문. 상임 고문. 계장등의 직급도 있습니다.
이제 임원급인 상무직급 밑의 직원들의 직급은
부장
차장
과장
대리
주임
사원
인턴
순으로 되있습니다.
< 월급날 . 실직 후 피씨방. 연봉동결 >
직원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직급들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직급과는 별개로 팀장이라는 직책을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업무상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본인의 직급과는 별개로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때로는 부장의 자리는 대신하는 자리에 팀장이라는 타이틀을 주기도 합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 임원 직급 ]회장 > 부회장 > 사장 > 부사장 > 전무 > 상무
[ 직원 직급 ]부장 > 차장 > 과장 > 대리 > 주임 > 사원 > 인턴
일반회사 영어 직급
▶ 회장 – Chairman
▶ 부회장 – Vice Chairman
▶ 대표이사 – Representative Director
▶ 사장 – CEO , President
▶ 부사장 – Vice President
▶ 전무 – Senior Managing Director
▶ 상무 – Managing Director
▶ 부장 – General Manager
▶ 차장 – Deputy General Manager
▶ 과장 – Manager
▶ 대리 – Assistant Manager
▶ 주임 – Assistant Section Manager
▶ 사원 – Staff
▶ 인턴 – Intern
연구소 직급 및 생산직 직급
▶ 수석연구원
▶ 책임연구원
▶ 선임연구원
▶ 주임연구원
▶ 연구원
으로 직급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 공장장
▶ 직장
▶ 반장
▶ 조장
▶ 사원
으로 일반적을 구분되어져 있구요.
회사나 연구소. 생산직 현장 모두 차이가 있기는 하겠지만 일반적인 틀을 비슷합니다.
사전에 알아두셔서 혹시나 있을 민망한 상황은 피하시는게 좋으니까요.
[ 같이보면 좋을 글 ]♠서울 공영주차장 위치 및 요금안내
♠코로나 검사 비용 무료로 전환 독감검사도 동시에
♠속도위반 실시간 조회
회사 직급 순서 – 연구소 직위, 직책
최근에는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위해 직급이 없는 회사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필요에 따라서 직원의 경력, 능력에 따라서 직급을 구분하고 있다.
여기서 임원을 제외하고는 크게 5가지로 직급체계를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직이 아닌 연구직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직급은 기업마다 차이가 있으며 사기업에서는 정부출연연구관보다 체계화된 직급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일반적인 회사 직급뿐만 아니라 연구소를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기업에서 사용하는 연구원 직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일반직
1. 인턴
인턴은 일정 기간 일을 배우는 단계로 수습사원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인 인턴은 정식으로 입사한 것이니라 전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채용한다는 차이가 존재한다.
2. 사원
정규직으로 회사를 입사하면 처음으로 갖게 되는 직급으로 사원으로 부르기보다는 이름을 부르거나 XX 씨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3. 주임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의 경우 사원에서 바로 대리로 진급하지만 규모가 큰 회사는 주임이라는 직급이 있는데 1~2년 동안 경력이 쌓이면 주임을 달아준다.
4. 대리
스스로 판단하고 일을 할 수 있는 직급으로 일반적으로 대학교를 졸업하고 입사한 사원이 3~5년 정도 직장 생활을 하면 대리로 승진하게 된다.
5. 계장
2000년대 들어서 자주 쓰이지 않는 직급으로 외국 사기업에서는 지금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은행에서는 행원과 대리 사이의 실무자를 계장이라고 한다.
6. 과장
대리에서 4년 이상 일하면 달 수 있는 직급으로 일반 사기업에서는 중견급 실무자, 중간 관리직을 말하지만 공무원에서는 상당히 높은 직위에 해당한다.
7. 차장
공무원으로 비교하면 5급 공무원 정도에 해당하는 위치로 실무자에서 관리자로 가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장(長) 다음으로 가는 직위로 본다.
8. 부장
회사의 규모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보통 20~20명 정도의 사람을 관리하는 사람으로 지사장, 공장장, 수석연구원, 지점장 등이 비슷한 위치의 직책이다.
9. 이사
임원중에서는 가장 낮은 직급으로 군대 계급으로 비교하면 대령에서 준장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이사는 정년이 없지만 실적이 없으면 회사를 나와야 한다.
10. 상무
처음 이사로 진급하고 어느 정도 능력을 인정받으면 상무로 진급을 하는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에서는 준대형 세단 차량을 지급한다.
11. 전무
사장과 부사장을 보좌하며 회사일을 총괄하는 위치로 군대로 치자면 소장(투스타) 수준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사원에서 전무까지 진급하는 경우는 0.01% 미만이다.
12. 부사장
군대로 비교하면 중장(쓰리스타) 정도의 위치로 중소기업, 중견기업의 경우 대부분 친인척이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평사원으로 부사장 달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13. 사장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는 가장 높은 위치를 의미하지만 대기업에서는 사장 직급을 가진 사람들이 여럿 있으며 자영업을 하는 사람을 높여 부를 때는 사장님이라고 부른다.
14. 부회장
규모가 큰 회사의 경우 여러 명의 사장이 일을 하는데 이 중에서 가장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을 부회장으로 임명하며 대부분 회장의 후계자가 자리를 차지한다.
15. 회장
누구나 알만한 기업의 최고 권력자로 우리나라에서는 외국 대기업의 CEO를 회장이라고 하는데 자신의 위치를 다음 사람에게 넘겨주고 나면 명예회장이 된다.
R&D
직급
1. 연구원 보조
입사하고 처음 1년은 연구원 보조로 별도의 직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등학교만 졸업한 사람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연구원 보조라는 직책을 쓴다.
2. 연구원
일반 기업에 입사한 사람의 직급은 사원으로 시작하지만 연구직에서 일하는 사람은 연구원부터 시작한다.
3. 주임연구원
주임 ~ 대리 정도의 위치에 있는 직급으로 위치가 애매하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는 주임 연구원이 없는 경우도 있다.
4. 전임연구원
대리 ~ 과장 정도의 위치에 있는 직급으로 어느 정도 경력 있는 구간이지만 주임 연구원과 마찬가지로 해당 직급이 없는 경우도 있다.
5. 선임연구원
대학교를 졸업하고 경력이 6년 이상인 사람이 해당하는 직급으로 일반직에서 차장급 수준이기 때문에 실무와 인원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책임연구원
부장급 수준의 직급으로 선임급 직원들을 통솔하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7. 수석연구원
연구원에서 가장 높은 직급, 부장 ~ 실장 정도의 위치로 임원급에 비교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경력 10년 이상 석사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연구원 직급 체계
다음은 Bing에서 연구원 직급 체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연구원, 궁금한 거 다 말해 1탄! 연봉? 근무시간? 하는 일?
- 생명과학연구원
- 연구원 연봉
- 연구원 근무시간
- 연구원 큐앤에이
- 연구원 하는 일
- 생명과학
- 제약회사 연구원
- 제약회사 연봉
- 석사 연구원
- 생명과학 대학원
- 생명과학과
- 생명과학과 취업
- 생명과학자
- 연구실
- 생명공학연구원
연구원, #궁금한 #거 #다 #말해 #1탄! #연봉? #근무시간? #하는 #일?
YouTube에서 연구원 직급 체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원, 궁금한 거 다 말해 1탄! 연봉? 근무시간? 하는 일? | 연구원 직급 체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